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42171

 

 

<장석준 칼럼>에 흥미로운 책소개가 보인다. 저자가 프랑크푸르트학파 3세대를 대표하는 사회학자-철학자라는데, 그렇다면 사회주의의 의미를 새로 규정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는 위치일 것 같다. 그리고 이 책도 그런 시도로 보인다.

 

사회주의가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를 "사회적 자유"로 설정하는 것인데, 통상적 근대사상의 '자유'의 원자론적 원리와 달리 유기론적 질서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러니 동양사상과 통하는 점을 얘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석준의 설명은 이렇다.

 

출발은 프랑스 대혁명이다. 대혁명의 구호 '자유, 평등, 우애'가 모든 영감의 발단이다. 혁명의 즉각적 수혜자인 자본가들은 이 구호의 첫째 항을 '개인적 자유', 즉 소유권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을 벌이는 원자적 개인의 권리로 이해했다. 이에 따라 서유럽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질서가 확산되기 시작했고, 일정한 재산을 소유한 남성들만의 의회가 들어섰다.

초기 사회주의자들은 당시 막 상식이 돼가던 이 흐름에 반기를 들었다. 자유를 개인적 자유로 바라본 결과는 자유와 평등, 우애 사이의 모순과 대립이었다. 개인적 자유의 주창자들이 이 자유를 향유할수록 나머지 대다수는 비-자유로 내몰렸다. 자유로운 자와 자유를 박탈당한 자가 나뉘었고, 따라서 평등하지 못했다. 평등하지 못한 집단들 사이에는 물론 우애가 있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한 초기 사회주의자들의 응수는 '사회주의'라는 작명 안에 집약돼 있다. 한 마디로 '사회'가 있다는 것이었다. 개인들은 이미 '함께' 살고 있다. 사회를 이룸으로써만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전될수록 이는 더욱 절실해진다. 개인적 자유 관념은 이런 진실에 눈 감는다. 그래서 사회의 존립을 위협하는 행위로 나아간다. 이것이 참된 자유일리 없다. '함께' 사는 모든 이들이 '함께' 누려야만 진정한 자유다. '개인적' 자유가 아니라 '사회적' 자유다.

한데 호네트는 사회적 자유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함께' 살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면, 우리의 관심은 상대방에게 끼칠 피해를 걱정하는 수준에만 머물지 않는다. '서로를 위해' 무엇을 할지 생각하게 된다. '서로를 위한' 행동을 하면서 삶의 충만함을 경험하고 이 경험을 지속, 확대하려 노력하게 된다. 초기 사회주의자들은 이런 원리가 중심이 될 때에 비로소 사회가 사회다워진다고 믿었다.

 

나는 근대사상의 원자론 편향을 생각하면서 19세기 초의 '사회주의'가 원자론이 밀어주는 개인주의에 대항하는 입장이 아니었던가, 그것이 <공산당선언>(1848)에서 '과학적 사회주의'에 밀려 '공상적 사회주의'로 전락하면서 '사회주의'의 이름을 빼앗긴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문명의 위기가 개인주의 극복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생각하며 원래의 사회주의가 되살아나기 바라는 소망을 품게 되었다.

 

그런데 장석준이 설명하는 호네트의 관점은 바로 내 소망에 부응하는 것이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주요 인물이 내놓은 관점이라니 큰 흐름을 대변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어서 이 책을 구해 읽어본 다음 자신감을 갖고 사회주의자가 되어야지.

 

몇 주일 전에도 대니얼 벨 교수와 메일로 주고받던 얘기 끝에 이와 관련된 내 생각을 적어 보낸 일이 있다. 민주주의 정의에서 "by the people"을 "through the people"로 바꿨으면 좋겠다는 내 얘기에 그 의미를 더 설명해 달라고 한 데 대한 응답이었다.

 

When we say "by the people", we tend to think of "people" as a collection of individuals, each of which is the prime subject of government. I hope to mean by "through the people", that "people" is an organic body, which is bigger than the arithmetic sum of its components. The function of "government"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whole body, not by the component individuals. The illusion of the individuals' role as the prime subject has been utilized by organized forces(a part of the whole body) to keep other parts of the body satisfied and quiet.

 

The use of the illusion is a good way of politics, I admit. So long as the organized forces can deal adequately with all kinds of challenges to the society, I have no objection to that way. But when they fail, an alternative has to be sought, and you have to do away with the illusion. For example, if problems with the Nature(resources and environment) can no more be managed in the present way (by technological means), you have to persuade people to change their way of living, and if they still have the illusion that they can decide their own fates,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persuade them. They will never give up the hope of passing the bomb on to somebody else before it goes off.

 

As cultural evolutionists say, mankind has built up great strength, much bigger than the sum of the strength of all the composing individuals, through the working of societies. The society can deal with challenges which individuals cannot. In the modern world(from 19c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ety was neglected, becaus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could block off most of the challenges. Hence individualism. This state has come to a limit. Now we have to recover the society. So, in my thought, the most important task for mankind is curbing individualism. "By the people" i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sm in politics. (as "property right" is in economy) When I say "through the people" I am hoping that the working of societies, which has brought the human civilization to the present state but has been neglected for two centuries, would be recovered to take care of the human society.

 

I would like to dub what I call for as "socialism". It is different, of course, from the "scientific socialism" in Communist Manifesto. It is the antonym of "individualism". I oppose to individualism because it concentrates o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ign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f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we have to admit that our living conditions are restricted by her. But if we ignore it, we can pursue unrestricted "development", and the powerful people feel free to exploit anything(other people, the nature, whatever) to any degree. That is how we have been making the Earth a very uncomfortable and dangerous place to live in during the past two centuries. To make things easier, the first thing to do is to recover "societies", through the working of which we can make concerted effort to deal with all problems, either pending or to come.

 

So much oratory for now. One thing came up to my mind. Could you write a greeting note for Korean readers? We already have enough of prefaces, so I think a small note telling how glad you are to get a Korean edition will do. The position of Korea in history and in the present reality makes you feel good, doesn't it? Koreans readers will be glad to hear that. It's not an urgent matter. Maybe you can write it before the end of the year, if you feel like it.

 

Yours, Orun

 

'페리스코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꺽정>에 담긴 ‘復國’의 뜻  (4) 2016.10.09
자해공갈범 ROK  (0) 2016.10.08
첸리췬 (6)  (1) 2016.09.24
첸리췬 (5)  (1) 2016.09.20
첸리췬 (4)  (1) 2016.09.18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