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끝난 클린턴의 중국 방문을 앞두고 미국 공화당 우파와 민주당 좌파는 이례적으로 손잡고 이 방문에 반대했었다. 장래 군사-경제면에서 미국의 도전자가 될 중국의 성장에 도움이 될 행동을 미국이 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우파의 주장이었고, 좌파의 주장은 미국사회가 요구하는 인권기준을 중국이 충족시키도록 압력을 넣기 위해 우호적인 행동을 아껴야 한다는 것이었다. 서로 동기는 다르지만 중국과의 우호 증진을 반대한다는 점에서 두 진영은 보조를 함께 했다.


그러나 클린턴은 중국에 갔다. 좌파에 대한 그의 응답은 중국의 인권문제가 장기간에 걸친 점진적 발전을 필요로 하며 자신의 방문이 그를 위해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리라는 것이었다. 또한 장쩌민(江澤民)과 함께 한 자리에서도 톈안먼(天安門)사건과 인권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태도가 원론적으로는 확고함을 과시했다.


우파에 대한 그의 대답은 더 직선적이다. 중국이 장차 미국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할 지 여부는 미국의 태도에 일차적으로 달려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중국행이 중국을 미국에 우호적인 태도로 끌어들여 미국 국익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그는 말한다. 미국은 이제 가상적(假想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미국 역사학자 마이클 셰리는 연전 ‘전쟁의 그림자 속에’란 책에서 전쟁에 대한 미국인의 기묘한 태도를 역사적으로 풀이한 바 있다. 남북전쟁 이후 본토에서 전쟁을 겪어보지 않은 미국인은 한편으로 전쟁을 몹시 두려워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전쟁을 동경한다는 것이다. 람보의 비현실적 활약도 스타워스의 초현실적 완벽성도 모두 이 묘한 심리에서 나온다고 한다.


냉전시대 소련과의 군비경쟁정책이 군산(軍産)복합체의 이해관계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 유력하게 나와 있다. 이런 정책이 국민에게 먹혀든 것은 전쟁은 무서워하면서 전쟁놀이는 좋아하는 국민정서 때문이었다고 셰리는 설명한다. 걸프전쟁의 양상에서 더 깊은 확신을 얻었다고 그는 말한다.


‘25년 후의 군사대국’ 중국을 지금부터 적대해야 한다는 미국 우파의 주장은 분명히 셰리가 말하는 ‘비겁한 호전성’의 냄새를 풍긴다. 닉슨의 중국방문 후 26년간 중국의 변화를 훑어보면 앞으로 25년간의 변화를 비관적으로 내다볼 이유가 없다.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인의 아시아관(觀)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한국을 보는 눈은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