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함의 선실은 스릴러의 인기무대다. 유사시에 빠져나갈 길이 없다는 것은 비행기도 마찬가지지만, 잠수함은 더 폐쇄된 공간인데다가 거의 군사적 용도에만 쓰이기 때문에 위험한 느낌을 저절로 떠올려준다. 그런데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미국의 핵잠수함이 인간의 작업장 가운데 가장 안전한 곳이라는 사실을 통계자료로 제시한다. 가장 위험하게 보이는 곳에 가장 사고가 적은 것은 어떻게 된 일일까.


드러커는 핵잠수함의 운영원칙에서 ‘사고’의 개념이 엄격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통상 사고라 하면 ‘인명이나 재산에 손실이 생긴 일’을 말하는 데 반해 핵잠수함에서는 ‘안전규칙이 지켜지지 않은 모든 일’을 사고로 본다는 것이다. ‘사고공화국’ 국민으로서 귀담아 듣지 않을 수 없는 지적이다.


사고의 대형화는 현대문명의 어쩔 수 없는 추세다. 열차가 충돌하거나 비행기가 추락하면 한꺼번에 수백 명이 목숨을 잃는다. 그렇다고 열차와 비행기가 없던 옛날이 꼭 안전했던 것은 아니다. 맹수와 강도 등에게 위협받던 옛날 여행에 비하면 오늘날이 더 안전한 편이다. 다만 한 번 사고를 당하면 옴치고 뛸 여지가 없다. 타이타닉 호 사고는 아직 인간성이 그 속에서 작용할 여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비극’이었지만 이제는 ‘참극’ 뿐이다.


본인의 잘못 없이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길이 많은 세상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현대인을 비참하게 만든다. 자동차사고는 너무 일상화돼서 ‘달리는 흉기’라는 이름이 굳어져 있거니와 우리는 ‘날아다니는 흉기’에도 꽤 당해 왔고, 심지어 백화점, 교량까지도 흉기로 겪어봤다.


지하철 침수사건은 천행으로 인명피해가 없었지만 만일 당시 그 구간에 열차가 운행하고 있었다면 삼풍에 버금가는 참화가 됐을 것이다. 십여 년 전의 홍수라면 고작 전답유실이나 가옥침수가 피해였지만 이제 걸핏하면 도시기능이 위협받고 대규모 인명피해까지 가능한 세상이 됐다. 물막이시설이 불편하다고 멋대로 줄여놓은 것이 사고의 직접원인이라 한다. 그런 무책임한 ‘설마’주의가 어찌 중랑천뿐이겠는가.


경제사고도 마찬가지다. 규모가 커지다 보니 회사 하나 넘어져도 예전과는 충격의 수준이 다른데, 나라살림까지 설마 설마 하면서 적당히 주무르다가 온 백성이 옴치고 뛸 길 없이 거덜내고 말았다. 드러커의 충고에 따라 매사에 핵잠수함 탄 것처럼 사고를 무서워할 줄 알아야겠다.

'미국인의 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의 눈물’의 성공  (3) 2012.02.12
인도네시아는 어디로? (1998. 5. )  (1) 2012.02.11
천황폐하의 花代  (1) 2012.02.07
功臣들의 숙청 (1998. 5. )  (0) 2012.02.07
기적 아닌 기적  (1) 2012.02.05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