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506년 오(吳)나라 군대가 초(楚)나라 수도 영(郢)을 함락시켰다. 이때 오군 사령관 오자서(伍子胥)는 초의 전 임금 평왕(平王)의 능을 파헤쳐 그 시신에 채찍질 3백 대를 가했다고 한다.


시신을 모독하는 것은 고대중국에서 일찍부터 금기시된 잔혹행위였다. 더우기 평왕은 오자서가 오나라로 망명하기 전 신하로써 모시던 옛 임금이었다. 오자서의 채찍질에는 깊은 원한이 서려 있었다.


오자서의 아버지 오사(伍奢)는 원래 평왕의 태자를 보좌하는 태부(太傅)였는데, 평왕이 간신의 농간에 따라 태자를 핍박하는 무도함을 간하다가 온 집안이 몰살당했다. 오자서만이 태자를 모시고 겨우 몸을 빼 달아나 여러 나라를 전전하다가 오나라에 망명하였고, 거기서도 십여 년간 온갖 곡절을 겪은 끝에 복수의 날을 맞은 것이었다.


오자서의 극렬한 복수가 오히려 초나라가 되살아나는 길을 만들어주었다. 오자서의 옛 친구 신포서(申包胥)는 진(秦) 애공(哀公)에게 구원군을 청했다. 초나라와 사이가 나쁘던 진나라는 초나라의 멸망을 방관할 작정이었지만 신포서가 사흘밤낮을 쉬지 않고 통곡하며 청원하자 감동하여 “이런 신하를 둔 나라라면 살리지 않을 수 없다”고 출병을 결정했다.


이 복수극은 춘추 말기의 일이다. 주군에의 충성을 절대시하던 춘추시대의 정치도덕으로는 아무리 살부(殺父)의 원한이라 하더라도 주군의 시신에 매질이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선비들이 자기 능력을 써 주는 주군을 찾아 천하를 주유(周遊)하는 전국시대의 분위기로 넘어가는 전환기의 시대상을 오자서의 복수극은 보여주는 것이다.


비극으로 시작한 오자서의 일생이 또 하나의 비극으로 마무리되는 데서 전환기의 패러독스를 읽을 수 있다. 말년의 오자서는 오왕 부차(夫差)에게 월(越)나라를 경계하도록 극간(極諫)하다가 죽임을 당한 것이다. 와신상담(臥薪嘗膽)의 고사(故事)로 널리 알려진 이 갈등 속에서 오자서는 춘추시대 신하의 충성심을 더 없이 모범적으로 구현했다.


이홍구 씨의 주미대사 부임을 놓고 한나라당 일각에서 비판이 나오는 모양이다.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케케묵은 도덕률이 아니라도 당 대표까지 지낸 사람이 그럴 수 있냐는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의 입장에서도 유능한 인물을 구분 없이 쓰지 않을 수 없는 위기상황임을 생각한다면 이것도 탕평(蕩平)을 향한 시대전환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미국인의 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메테우스의 시대  (0) 2012.01.19
생각하는 죄수  (0) 2012.01.18
壯士의 뜻  (2) 2012.01.15
春秋의 수난  (2) 2012.01.14
소행성 ‘SEJONG’  (3) 2012.01.13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