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8년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허버트 후버는 미국의 장래를 한껏 밝게 내다보고 있었다. “지금 미국은 역사상 어느 나라보다도 빈곤의 완전한 정복을 가까이 바라보고 있다”고 그는 유세에서 말하곤 했다. 대공황은 그의 취임 7개월 후에 터졌다.


후버의 재임 중 미국인의 총소득은 절반 이하로 떨어지고 수출입은 3분의 1 이하가 됐다. 공식적인 실업률은 25%를 기록했지만 실질실업률은 40% 이상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후버는 낙관론을 버리지 않아야 위기를 넘길 수 있다고 믿었고, 근본적인 실패를 고집스럽게 부인함으로써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기만 했다.


후버의 고답적인 태도를 대표적으로 보여준 것이 ‘연금부대’의 격퇴다. 1932년 대통령선거전을 앞둔 여름 1차 대전 참전병사 2만여 명이 워싱턴에 몰려들었다. 1945년부터 지급받기로 예정돼 있는 연금을 앞당겨 달라고 청원하며 대로상에 캠프를 친 그들을 연금부대(Bonus Army)라 한다. 후버는 군대를 동원해 이들을 쫓아냈는데 과잉작전으로 적지 않은 사상자를 냈다고 한다.


얼마 후 새 대통령 로즈벨트에게 연금부대가 다시 찾아왔을 때 로즈벨트는 부인 엘레너를 그 캠프로 보냈다. 엘레너는 시위자들에게 커피를 권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노래를 부르며 그들의 마음을 달래줬다. “후버는 기병대를 보내줬고 로즈벨트는 마누라를 보내줬다”는 것이 두 대통령의 차이로 국민들의 마음에 새겨졌다.


대공황을 이겨낸 로즈벨트의 ‘뉴딜’이 후버의 정책과 달랐던 것은 빈민구제에 역점을 두고 근본적인 제도개혁을 꾀한 점이다. 빈민구제를 좌경화로 여기고 제도개혁을 체제전복으로 생각했던 후버와 달리 위기의 심도를 투철하게 인식한 것이다. ‘노변정담(Fireside Chat)’의 라디오방송으로 국민의 마음에 다가가려 애쓴 것도 같은 인식에서였다.


1920년 부통령에 출마해 낙선한 후 소아마비로 정계를 은퇴했다가 휠체어에 몸을 싣고 돌아온 로즈벨트의 모습에서 미국인들은 시련 극복의 상징을 보았다. 김대중 당선자의 지팡이 역시 세 차례 도전에 실패한 경력과 함께 지금의 위기상황에 어울리는 지도자상을 그려주고 있다. 게다가 로즈벨트의 노변정담을 방불케 하는 ‘국민과의 대화’를 보여주고 있으니 대공황을 극복한 로즈벨트에 못지 않은 위기극복의 업적을 기대하게 된다.

'미국인의 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위의 시대, 능력의 시대  (0) 2012.01.09
自由와 安定性  (0) 2012.01.07
인어의 수난 (1998. 1. )  (2) 2012.01.06
선양(禪讓)과 방벌(放伐) (1998. 1. )  (0) 2012.01.04
이제 마라톤의 나라로 (97. 12. )  (0) 2012.01.03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