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大 E.D.허시 교수는 87년 펴낸 “문화해독능력(Cultural Literacy)”에서 미국교육의 공동화(空洞化)현상을 지적,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켰다. 금세기 초부터 미국 교육계를 지배해 온 자유주의 개혁이 교육의 실용성을 지나치게 침해해 미국교육의 생산성을 형편없는 수준으로 떨어뜨려 왔다는 것이다.


오늘날 미국교육이 유능한 인재를 키워내는 데 실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가와 문화의 정체성조차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다는 그의 진단에 진보성향 지식인들까지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그후 그는 ‘핵심지식재단’을 만들어 ‘유능한 미국인’을 키워낼 교과내용을 개발-보급하는 일을 벌여 왔다.


작년 말 “우리에게 필요한 학교(The Schools We Need)”로 현대미국교육의 지나친 자유주의 경향에 다시 포문을 연 허시 교수의 주장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자유주의 개혁이 평등의 이념을 배반해 왔다는 역설이다. 교육의 성취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풍조가 학교교육의 전반적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가정환경이 각 학생의 성취도를 좌우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초래했다는 것. 공교육 쇠퇴가 사교육 범람을 몰고 오는 우리 현실에도 맞는 통렬한 지적이다.


며칠전의 4차 개혁안까지 우리 교육개혁위원회의 제안방향은 현대미국교육의 자유주의 개혁을 기본모델로 한 것 같다. 지금까지 교육계를 지배해 온 권위주의 풍조에 비쳐보면 참으로 신선한 내용이 많다. 때늦은 감 가운데 지금부터라도 신속하게 이 개혁이 이뤄지기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그러나 허시 교수의 미국 교육현실 비판을 보면서 목전의 우리 개혁이 교육문제의 궁극적 해결에 이르는 길이 아니라는 점은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4차 개혁안에 사교육비 대책이 뒤늦게야 포함되고, 또 그 대책이라는 것이 다른 부문에 비해 미온적이라는 평을 듣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근대 이전 교육과 근대교육의 첫 번째 차이점은 ‘국가사업’으로서의 면모에 있다. 근대국민국가의 이념이 근대적 보편교육을 이끌어냈던 것이다. 미국교육의 기능쇠퇴는 미 국민의 국가의식 약화와 맞물린 것이니, 이것도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단면일지 모른다. “정치는 이념을 따르더라도 교육은 현실적 기능을 잊어서 안 된다”는 허시 교수의 말을 우리도 지금부터 음미해야겠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