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唐)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은 고조(高祖)의 둘째아들이었다. 그는 원래 태자였던 형 건성(建成)과 동생 원길(元吉)을 현무문(玄武門)의 변(變)으로 죽이고 태자가 되었다가 곧이어 황제가 되었다.


정변을 일으킨 후 세민은 형을 받들어 자신을 적대하던 인물들에게 관대한 처분을 내렸다. 특히 자신을 억누르도록 건성에게 꾸준히 건의했던 위징(魏徵)을 “그는 자기 위치에서 할 바를 다한 것일 뿐”이라며 자기 측근에 중용한 것은 그의 큰 도량을 드러낸 일로 일컬어진다.


그후 위징은 태종에게 바른말을 아끼지 않고 올리는 ‘충직한 신하’의 상징이 되었고, 태종은 귀에 거슬리는 말이라도 열심히 받아들이는 ‘관대한 군주’의 모범이 되었다. “정관정요(貞觀政要)”에는 두 군신간의 믿음을 그린 이야기들이 수없이 들어 있다.


현무문의 변 몇 년 후 태종의 옛 부하 하나가 독직(瀆職)으로 해임된 일이 있다. 태종은 어려웠던 시절의 충성을 생각해 그를 복직시켜 주려 했다. 그러자 위징은 “폐하를 모셨던 수많은 사람들이 모두 특별한 대우를 받는다면 보통사람들이 불안해 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태종을 적대했던 사람이 태종의 부하였던 사람을 우대하지 말라는 것이니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 격이다. 그런데도 태종은 위징의 간언(諫言)에 따랐다.


그로부터 십여 년 후 이번에는 당인홍(黨仁弘)의 독직사건이 있었다. 그 죄가 커서 사형이 판결되었으나, 워낙 오랫동안 고락을 함께 해온 그를 차마 죽게 할 수 없었다. 태종은 여러 신하를 모아놓고 이렇게 말했다. “법이란 하늘이 임금에게 내려준 것이다. 그런데 이제 나는 사사로운 정으로 당인홍을 풀어주고자 하니, 이는 법을 어지럽히고 하늘의 뜻을 저버리는 짓이다. 남교(南郊)에 멍석을 깔아 하늘에 죄를 고하고 거친 밥을 먹으며 사흘동안 근신하여 이 죄를 풀고자 한다.” 그리고는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와 같은 처벌을 자신에게 내렸다.


당 태종은 중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황제의 하나로 꼽히지만 그의 행적을 살펴보면 결코 성인군자 스타일은 아니다. 애증(愛憎)이 뚜렷한, 너무나 인간적인 인물이다. 가신들 때문에 그가 겪은 고민을 들여다보면 인간적 약점을 뛰어넘어 훌륭한 군주가 되고자 애쓴 꾸준한 노력이 참으로 평가받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



'미국인의 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忠臣과 佞臣 (97. 5. 9)  (0) 2011.11.29
食人의 전설 (97. 5. 2)  (0) 2011.11.28
국립묘지의 內亂犯  (0) 2011.11.27
사탕을 먹지 말거라” (97. 4. 11)  (1) 2011.11.25
근로자와 戰士 (97. 4. 4)  (1) 2011.11.24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