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까지 유럽의 유대인은 폐쇄적인 게토에 모여 살며 주변의 기독교인 사회와 최소한의 접촉만을 가졌다.인종과 종교의 이질성으로 인한 주변사회의 멸시를 회피하기 위한 자발적 격리였다고 볼 수 있다. 18세기 들어 1천여 년간 지켜온 게토의 울타리를 뚫고 주변사회에 동화하는 유대인이 대거 나타난다. 유럽 기독교사회가 전에 없이 이들을 너그럽게 받아들인 것은 계몽주의와 평등사상 덕분이었다.
동화를 시도한 유대인들은 특히 고급 직종에서 매우 뛰어난 성공률을 보였다. 19세기말까지 금융계, 학계, 의료계, 예술계에 이어 정계에서까지 유대인의 활약상은 인구에 비해 엄청난 비중을 갖게 되었다. 주변사회에는 유대인에 대한 종래의 경멸감에 더해 질투심과 두려움까지 일어나게 되었고,이를 바탕으로 반유대주의 움직임이 나타나게 된다.
배타적 민족주의가 고조되던 당시 유럽의 분위기를 드러내 보여준 1894년의 드레퓌스 사건은 동화 유대인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반유대주의는 일시적 현상이며 궁극적으로 동화만이 유대인의 살 길이라 믿어온 테오도어 헤르츨 같은 사람들이 방향을 뒤집어 유대인의 민족정체성을 추구하는 근대 시오니즘 운동을 일으켰다.
올해는 시오니즘 출범 1세기, 이스라엘 건국 반세기가 되는 해다. 이스라엘과 아랍의 관계는 아직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분쟁의 소지로 남아 있다. 이 분쟁의 뿌리, 시오니즘의 본질을 밝힌 책이 제프리 휫크로프트의 <시온동산은 어디에>다.
휫크로프트는 영국 스펙테이터 지의 문학 담당 에디터를 지낸 저널리스트로 지금도 뉴욕타임스, 가디언, 월스트리트 저널 지 등에 기고하고 있다. 저자의 관점은 시오니즘의 몇 가지 모순을 지적하는 데서 단적으로 나타난다.
제일 먼저 지적하는 것은 구조의 모순이다. 시오니즘을 앞서 제창하고 이스라엘 건국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공헌한 것은 주변사회에 동화한 서유럽과 미국의 유대인들이었다. 반면 이스라엘에 실제 정착하러 간 것은 대부분 중부와 동부 유럽의 게토에 남아있던 사람들이었다.
두 그룹의 사람들은 서로 다른 시오니즘의 뜻을 갖고 있었다. 해외에서 지원한 유대인들은 각자 살고 있는 나라에 동화해 살면서도 팔레스타인에 자랑스러운 조국이 생기기 바란 것이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에 돌아간 유대인들은 자랑스러운 조국보다 힘있는 조국을 만드는 일이 더 급했다.
두 번째로 지적하는 것은 논리의 모순이다. 시오니즘은 유럽 각국의 배타적 민족주의에 대응하면서 그 배타성을 물려받았다. 발포어선언(1917년) 이래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의 정착지 내지 국가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현지 아랍인 주민의 입장은 식민지의 원주민 정도로밖에 고려하지 않았다. “그들은 선진문명을 전달해 주는 우리를 환영할 것”이라는 시오니스트들의 주장은 제국주의 논리 그대로다.
시오니즘 초창기 동화유대인들의 반대가 이 모순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들은 동화를 거부하고 격리를 추구하는 시오니즘의 기본노선이 반유대주의와 똑같은 것이라고 지적했다.실제로 시오니즘 극단주의자들은 유대인의 집단이주를 지지하는 각국 파시스트 정권과 유착관계를 맺기도 했다.
세 번째 모순은 상징성의 모순이다. 시오니즘이 유대인사회의 전폭적인 단결을 이루고 외부의 반대를 잠재운 것은 역설적으로 나치의 대학살 덕분이었다. 인류 역사상 미증유의 참상이 시오니즘을 정당화하는 상징이 된 것이다.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1963년)에서 나치범죄의 본질을 '악마성'이 아닌 '비속성'으로 논한 것은 시오니스트들의 극단적인 분노를 샀다. 대학살의 상징성을 손상시킨 때문이다.
시오니즘은 20세기의 가장 특이한 민족주의다. 유럽의 인종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한 대응책이면서 오히려 그를 답습한 것이 시오니즘의 모순이다. 민족주의의 숙제를 아직도 풀지 못하고 있는 우리에게 절실한 가르침을 주는 타산지석이다. 1997. 1. 28
'페리스코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안드레스 오펜하이머 <벼랑에 선 멕시코>(Bordering on Chaos) (5) | 2013.10.26 |
---|---|
[서평] 찰스 라이히 <이 체제를 고발한다>(Opposing the System) (0) | 2013.10.26 |
[서평] 메론 벤베니스티 <적과의 포옹>(Intimate Enemies) (0) | 2013.10.24 |
[서평] 프레드릭 켐프 <祖…國>(Father/Land) (2) | 2013.10.14 |
[서평] 마이클 루이스 <첨단 밖의 첨단>(The New New Thing) (0) | 201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