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은 카를로스 살리나스 멕시코대통령의 재임 마지막 해. 그해 1월1일은 그의 최대 치적인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발효하는 날이었다. 관저에서 흥겨운 마음으로 송구영신 파티를 주재하던 그에게 새벽2시쯤 키아파스 주의 무장봉기 소식이 날아들었다. 여기서부터 꼬리를 문 재앙은 그 순간까지 장밋빛 꿈에 빠져있던 살리나스와 멕시코를 그해 내내 괴롭혔다.
당혹스러운 반군사태를 유화책으로 겨우 진정시켜 놓고 있던 3월, 여당 대통령후보 루이스 도날도 콜로시오가 암살됐다. 제도개혁당(PRI)은 1928년 창당 이래 60여 년간 멕시코 정치를 독점해 왔고, 6년 단임제의 대통령에게 모든 권력이 집중되는 전통을 지켜왔다. 선거를 5개월 앞둔 PRI후보의 암살은 지방의 반란보다 체제에 대한 더 큰 위협이었다.
콜로시오 암살의 의혹도 풀리지 않고 있는 판에 9월에는 PRI 사무총장 호세 프란치스코 루이스 마시에우가 저격당했다.
그리고 에르네스토 세디요 대통령이 12월1일 취임한지 불과 3주 만에 최악의 사태가 터졌다. 해외투자가들의 이탈로 외환보유고가 바닥에 이름에 따라 페소화의 전격적 평가절하가 불가피하게 된 것이었다. 공신력 훼손이 해외자본의 이탈을 가속시켜 경제는 공황에 빠지고 페소화의 가치는 몇 달 사이에 절반까지 떨어졌다.
정치면의 혼란도 경제면보다 못하지 않았다. 세디요가 파격적으로 검찰총장에 임명한 야당지도자 안토니오 로사노는 전임대통령의 형 라울 살리나스가 루이스 마시에우 저격의 배후조종자임을 밝혀냈다. 뒤이어 라울 살리나스의 엄청난 독직과 축재 사실이 파헤쳐지는 동안 카를로스 살리나스는 항의단식을 하다 미국으로 망명해 버렸다. 범죄 은폐 내지 개입 의혹을 뒤로 한 채.
마이애미 헤럴드지 기자 안드레스 오펜하이머는 키아파스 봉기 다음날부터 2년간 멕시코를 취재한 결과를 <벼랑에 선 멕시코>로 묶어냈다. 전-현직 대통령과 암살된 후보, 반란군 사령관 마르코스를 비롯해 중요한 인물 거의 모두를 인터뷰한 저자는 멕시코가 처한 상황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미래의 전망을 세워본다.
저자의 관점에 큰 영향을 끼친 충격적인 사건이 있었다. 루이스 마시에우 피격 직후 살리나스 대통령은 피살자의 동생 마리오 루이스 마시에우 검사에게 특별히 수사지휘를 맡겼다. 정치적 사건이 통상 미궁에 빠지고 마는 멕시코의 전통이 이번에는 혹시 깨지나 하고 저자는 수사결과를 예의주시했다.
몇 주일 후 마리오 검사는 사표를 내며 분노에 찬 성명을 발표했다. 범인들이 보수적 정치인들을 배후로 지목한 것으로 보아 개혁파 지도자인 형이 수구파의 테러에 희생됐음을 확신하지만 PRI 지도층의 방해로 수사를 진척시킬 수 없다는 것이었다. 마리오는 순식간에 국민적 영웅이 되고 그를 인터뷰한 저자도 큰 감명을 받았다.
그러나 다시 몇 주일 후 신임 로사노 검찰총장은 놀라운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대통령의 형이 개인적 원한으로 자기 형의 살해를 조종한 사실을 알면서 마리오 검사가 은폐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 발표가 나올 때 마리오는 미국으로 도망가 있었고 텍사스 어느 은행 그의 계좌에는 최근 몇 달간 7백만 달러가 입금된 흔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가 마약조직에서 오랫동안 거액을 상납받아 온 사실도 뒤이어 드러났다.
이런 황당무계한 사태를 바라보며 저자는 멕시코 권력체제의 성격에 생각을 모아 본다. PRI는 이념을 가진 정책정당이 아니라 권력층의 체제유지를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는 것이 그의 관점이다. 수십 년간 책략만으로 체제를 유지해 온 권력층은 극도의 도덕불감증에 빠지는 한편 내부의 이권조정도 한계에 도달한 것이 멕시코가 빠진 파탄의 근본원인이라는 것이다.
오펜하이머는 멕시코의 장래를 어렵게 보지만 세디요 대통령을 통해 희망을 품어보기도 한다. 우연한 상황으로 대통령이 된 세디요는 종래 정치지도자들처럼 특권층 출신도 아니고 자기가 되려 해서 대통령이 된 것도 아니다.
살리나스의 깨어진 꿈은 우리에게도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NAFTA를 향한 화려한 경제적 성공은 경제부조리를 심화시킨 무원칙한 국영기업 민영화에 바탕을 둔 사상누각이었다. 합리적이라고 평가받은 정국운영도 권력체제의 구조적 모순을 피해만 가다가 파탄을 맞았다. 우리 문민정부의 성취도 부단한 비판적 검토를 필요로 한다. 그래도 비판할 만한 대상이라도 가지게 된 것이 다행이다. 1996. 11. 5
'페리스코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폴레옹 이야기 ① '33년'의 비밀…나폴레옹3세와 박근혜는 닮았다 (0) | 2013.11.14 |
---|---|
[서평] 빌 리딩스 <무너지는 대학> (The University in Ruins) (1) | 2013.10.27 |
[서평] 찰스 라이히 <이 체제를 고발한다>(Opposing the System) (0) | 2013.10.26 |
[서평] 제프리 휫크로프트 <시온동산은 어디에>(Controversy of Zion) (0) | 2013.10.24 |
[서평] 메론 벤베니스티 <적과의 포옹>(Intimate Enemies) (0) | 201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