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츠하크 라빈(1922~95)은 예루살렘 출생. 1967년의 7일전쟁 당시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으로 명성을 날리고 현지출생자로서는 처음 이스라엘 총리가 됐다. 시오니즘을 지상명제로 받들면서도 점령지역에서의 철군을 주장하는 등 상대방을 인정하는 중도노선으로 노동당을 오랫동안 이끌었다. 1992년 선거에서 '9개월내의 평화'를 공약으로 15년만에 노동당 정권을 재건하고 총리가 됐다.

 

야세르 아라파트(1929~) 역시 예루살렘 출생. 이집트 유학시절부터 민족운동에 관여하기 시작해 테러조직 알-파타의 지도자가 된 아라파트는 1969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장에 취임해 20여년간 이 기구를 지도해 왔다.

 

1993년 9월 백악관 정원에서 만난 이 두 사람의 악수는 세계를 놀라게 했다. <적과의 포옹>을 쓴 메론 벤베니스티는 "충격을 받았다"고 술회한다.

 

그리고 벤베니스티가 충격을 받았다고 하는 사실 자체에 많은 중동문제 전문가들이 놀랐을 것이다. 하버드 출신으로 예루살렘 부시장을 지낸 벤베니스티는 1982년 이래 웨스트뱅크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를 창설,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 냉철한 연구활동을 계속해 오고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가 충격받은 것은 분쟁의 양측이 악수할 만큼 여건이 성숙하려면 아직 멀었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그 충격을 소화하기 위해 상황을 재점검하며 쓴 것이 이 책이다.

 

저자는 이스라엘인의 입장에서 이 문제를 바라본다는 사실을 분명히 한다. 분쟁의 한쪽에서 보는 시각이지만 제3자에게도 충분히 참고의 가치가 있는 것은 그가 실용주의의 입장을 엄격하게 지키기 때문이다. 민족주의니 종교니 하는 배타적 이념에 현혹돼서는 분쟁의 양측이 포용되는 해결의 길을 결코 찾을 수 없다는 전제 아래 이 지역의 현실 문제를 직시할 것을 그는 주장한다.

 

그가 밝히고자 하는 현실의 핵심은 팔레스타인 문제의 사회적 측면에 있다. 분쟁당사자들은 양쪽 다 이 문제의 국제적 측면만 부각시키고 싶어했다. 서양문명의 일원을 자임하는 이스라엘 측은 서방국가, 특히 미국의 지원을 얻기 위해 인도주의와 민주주의를 지키는 '문명국'으로 행세하고 싶다. 가혹행위의 대상인 점령지역 주민을 자국민이 아닌 적국인으로 본다면 변명은 쉽다.

 

한편 아랍 측에서는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명분 때문에 분쟁을 민족간의 대결로 볼 뿐 민권문제를 민권문제로서 제기할 의지가 없다. (잘린 내용 나중에 보충하겠습니다.) 1996. 3. 31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