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네 번째로 큰 대도시 휴스턴에서 바다로 나가면 멕시코만을 가로막는 긴 사주(沙洲) 섬이 있고 이 섬 위에 텍사스 최고의 휴양도시 갤베스턴이 있다. 갤베스턴의 자랑거리는 50㎞나 뻗어 있는 백사장과 19세기의 고풍스런 분위기를 듬뿍 풍기는 옛 시가지다.

 

백년 전에는 갤베스턴이 텍사스의 관문이자 최고의 도시였다. 휴스턴에는 철도가 놓이면서 겨우 도시가 생겨나고 있었다. 그런데 1900년 9월 어느 날, 한 차례 폭풍이 두 도시의 위치를 뒤집어 놓았다. 뉴욕타임스 과학부장 코넬리아 딘의 <파도에 맞서>는 갤베스턴 당시 인구의 20%를 하룻밤에 희생시킨 이 폭풍 이야기로 시작해 바다와 육지의 관계, 그리고 그 틈에 끼어들려는 인간의 욕심이 빚어낸 현대판 '시시푸스 신화' 를 펼쳐보인다.

 

최고지점이 해발 3미터인 이 모래섬은 애당초 도시를 세울 곳이 아니었다. 그러나 편리한 위치 때문에 도시는 생겨났고 번성했다. 그러다 60년만의 큰 폭풍이 닥치자 온 도시가 파도에 휩쓸려 풍비박산 났다. 건물의 대부분이 파괴되고 6천명 이상이 하룻밤 사이에 목숨을 잃었다.

 

폭풍이 지난 뒤 갤베스턴 시민들은 도시의 복구를 결정했다. 복구된 도시를 장차의 폭풍에서 보호하기 위해 엄청난 규모의 토목공사가 벌어졌다. 토목공사의 핵심은 5미터 높이에 5㎞길이의 방파제였다. 방파제 뒤의 도시는 그 높이 이상으로 매립되고, 폭풍에 살아남은 건물들은 잭으로 들어올려 새 지면 위에 올려놓든지, 부수든지 건물주의 처분에 맡겨졌다. 2천여채의 건물이 2~3미터씩 공중으로 올라가고 그 밑에 기초가 채워졌다. 갤베스턴의 고풍스런 시가지는 이렇게 살아남은 것이다.

 

갤베스턴이 그 후 백 년간의 폭풍을 견뎌낸 것을 보면 이 공사는 성공한 셈이다. 그러나 도시의 발전은 거기서 그쳐버렸다. 그리고 도시를 지키기 위해 만든 방파제가 오히려 도시의 근거를 무너뜨리는 골칫거리가 되었다. 방파제 밖의 모래가 계속해서 바다로 쓸려나가기 때문이다.

 

폭풍의 거센 파도는 해변의 모래를 물속으로 쓸고 간다. 모래밭 뒤의 모래언덕 일부가 무너지며 모래를 보태주기도 한다. 모래는 물속에서 모래톱이 되어 파도의 힘을 줄여준다. 폭풍이 지나간 뒤 모래는 오랜 시간에 걸쳐 해변으로, 그리고 모래언덕으로 돌아간다. 모래의 순환을 통해 해변이 폭풍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상처를 치유하는 자연의 원리다.

 

모래밭과 모래언덕 사이에 들어선 방파제가 이 순환의 통로를 틀어막자 한 번 쓸려간 모래는 돌아오지 않게 되고 몇 년 안 가 방파제의 바닥이 물결 앞에 드러나게 되었다. 이제는 방파제를 보호하기 위해 모래를 끝없이 퍼다붓고 추가공사를 거듭하지만 방파제 밖의 모래밭은 옛모습을 잃었다. 바다와 해변이 교섭하는 자연의 기능도 함께 사라진 것은 물론이다.

 

갤베스턴에서만 일어난 일이 아니다. 산업사회 어디서나 해변의 호텔과 식당은 장사가 잘된다. 사람들은 자꾸 밀려들고 시설은 늘어난다. 이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해변에서의 향락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방파제를 만드는 것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일이다. 그리고나서 시간이 갈수록 백사장이 줄어드는 것 역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일이다.

 

모래 '사(沙 또는 砂)' 자를 물수변과 돌석변 양쪽으로 쓰는 것은 물의 성질과 돌의 성질을 함께 가졌기 때문이다. 해변의 백사장은 비록 육지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바다의 일부이기도 하다. 자연의 원리에 순응해 살던 옛사람들은 사상누각(沙上樓閣) 을 지으려 하지 않았다.

 

토목건축기술을 발전시킨 오만한 현대인은 모래밭을 육지처럼 지배하려 해 왔다. 그러나 바다의 꾸준한 힘에 맞서는 것이 얼마나 미련한 짓인지 이제 깨닫기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1999. 7. 15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