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상을 그렇게 살아오지 않았습니다." 한명숙 전 총리의 소박하면서 함축적인 한 마디에 많은 사람들 속이 후련했다. 말도 안 되는 시비에 최대한 간결한 반박이다. 그 한 마디를 넘어 신문에 답변할 필요도 없다. 말 아닌 말에 말 섞으면 내 말까지 버릴 수 있다.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닙니다." 우리 어머니도 한 말씀 하셨다는데, 음미할 점이 많은 말씀이다. 한 총리처럼 자신감을 담은 말씀이 아니다. 그렇다고 겸손의 말씀도 아니고. 어이없을 정도로 기억력이 쇠퇴하신 지 십여 년 되신 분의 자기 인식이 어찌 저렇게 늠름하실 수 있는 것인지, 참 신기하다.
제자인 이미희 선생이 엊그제 요양원에 찾아가 뵙고 보내준 메일에는 흥분이 넘쳐난다. 몇 주일 전 나랑 함께 간 것이 십여 년만에 뵙는 것이었고, 그 날 어머니가 어렴풋이 알아보기는 해도 그렇게 명확하지는 않으셨다. 엊그제 혼자 가면서는 알아보지 못하실 것을 각오하고 갔을 것이다.
예전에 있었던 이런저런 일을 이 선생이 말씀드려도 별로 기억하시는 것이 없으셨다고 한다. 그런데 이 선생을 흥분시킨 것이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닌데..." 말씀이었다고. 집에 불러 손수 밥을 해 먹여주신 일 말씀에도 "내가? 그럴 리가...", 어머니 작품 보여주신 일 말씀에도 "내가 제자에게 그랬을 리가 있나?", 어머니에게 엽서 받은 일이 있다는 말씀에는 "나는 그런 선생이 아니었는데..." 도무지 믿어지지가 않는다는 반응이셨다고 한다.
이 선생이 색바랜 엽서를 꺼내 보여드렸을 때 어머니 표정을 나도 봐야 하는 건데!
이 선생의 흥분과 기쁨도 눈에 선하다. "나는 어떤 사람인데," 하는 뚜렷한 자기 인식부터 노쇠하신 어머니에게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어머니는 학생들과의 거리를 엄격하게 지키는 편이셨던 모양인데, 그 사실을 명확하게 기억하고 계신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있었을 수 없는 일"로 생각하시는 예외가 이 선생 자신이었고, 그런 예외가 있었다는 사실을 자기가 와서 일깨워드리고 있는 것이다.
요즘 가까운 사람들을 보거나 이야기를 들었을 때 어머니가 보이시는 반응으로는 살아오신 위치와 자세를 대략 기억하시는 것 같고, 학생들을 대하시던 태도도 웬만큼 기억하실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옛 제자가 친밀했던 경험을 일깨워드릴 때 "나는 그런 선생이 아니었는데..." 하실 정도로 확고한 인식은 기대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인식을 또 뛰어넘는 굴곡에 마주치시다니.
'팔림세스트 palimpsest'란 말이 생각난다. 유럽 중세에는 양피지 값이 비싸기 때문에 한 번 썼던 내용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때 지우고 다른 내용을 새로 쓰는 일이 많았다. 현대 서지학자들이 지웠던 내용을 복원해서 매우 중요한 자료를 얻곤 한다. 당시 기준으로 보존 필요가 없던 내용이 지금 연구에 요긴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이나 중국의 옛 자료에도 비슷한 경우가 더러 있기는 하지만, 값싸면서 재활용이 힘든 종이라는 재료가 일찍부터 보급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럽처럼 중요한 현상이 아니다. 유럽 지식인 사회에서는 '팔림세스트'가 비유로도 널리 쓰이는 말이다. 이미희 선생의 등장으로 어머니의 자기 인식에도 '팔림세스트 현상'이 일어나는 것 아닐까?
나는 어머니가 제자들을 어떻게 대하시는지 보면서 자라났다. 아마 내가 초등학교 졸업반이던 4-19, 5-16 때부터 학생들과 거리를 지키는 편으로 태도를 굳히셨던 것 같다. 관계를 오래 지켜온 제자들은 그래서 대개 나보다 열 살 이상 윗분들이다. 4-19를 계기로 학교 개혁 주장에 나섰다가 한 차례 된서리를 맞고 위축되셨던 모양이다. 7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이효재, 윤정옥 선생님과 보조를 맞춰 정치적 태도를 조금이나마 표명하신 것은 자식들을 다 키워놓은 뒤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고 싶은 말씀을 마음대로 하실 수 없는 상황이 제자들 대하시는 태도에도 제약을 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80년 신군부 때도 조사받으러 들어가셨으니, 당시로서는 상식적인 조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음 통하는 학생들과 할 소리 못할 소리 가리지 않고 지내셨다면 탈이 나도 큰 탈이 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미희 선생이 (73학번인가?) 다닐 때는 4남매 다 대학 졸업까지 하고 어머니가 모처럼 하고 싶은 일 조금이라도 찾아 하기 시작하실 때였다. 이 선생에 관해 여기가 시시콜콜한 얘기 꺼낼 자리는 아니지만, 어머니가 이 선생에게 각별한 동류의식을 느끼셨던 것 같다고 그는 회고한다. 어머니 나름으로는 딸처럼 대하셨던 것 같다. (어머니 자식 대하시는 태도가 여느 어버이와는 달랐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름"이란 말을 쓰는 것이다.)
이 선생과 마주치면서 내게도 팔림세스트 현상이 일어났다. 20여 년간 내 기억에 떠오르지 않았던 일들이 생각나게 된 것이다. 이 선생 관계된 조그만 일 하나를 내게 도와주라고 어머니가 부탁하셨던 일이다. 떠올리고 보면, 어머니가 제자 일을 내게 부탁하신 일이 그것 밖에는 없었던 것 같다. 이 선생이 어머니와의 지난 일 얘기하는 것을 들으면 어머니가 그렇게 학생을 대하신 일이 있었나? 새롭게 들리는데, 이 선생과의 관계는 어머니에게도 예외적이고 특별한 경험이었음이 틀림없다.
며칠 후 가 뵐 때 이 선생 얘기하면 엊그제 일도 거의 기억을 못하실 것이다. 그렇다면 이 선생이 옛날 일 떠올려드리는 일에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그런 자극이 자꾸 겹쳐지다가 어느날 갑자기 기억이 화통해지실 일이 있을 것 같지도 않다. 그런 일이 설령 있더라도 크게 좋아할 일인지 판단할 수 없다. 글쎄? 어느 책갈피에 큼직한 채권 꽂아두신 거라도 생각나신다면 몰라도.
그래도 어머니 인생이 그만큼 더 충실해지시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역지사지(易地思之)의 관점에서 오는 느낌일 것이다. 나 자신도 겪어온 일들 가운데 기억에 떠올리지 못하는 것이 많다. 주변 사람들과 즐거움을 나눈 일도, 주변 사람들을 괴롭혀 드린 일도. 지금까지도 할 일에 쫓겨 떠오르려는 기억마저 억누르며 지내는 꼴이지만, 좋은 인연에 대한 고마움을 되새기고 지난 날의 어리석음을 반성할 기회를 충분히 가져야 오죽잖은 한 인생이라도 의미를 제대로 살릴 수 있을 것 같기는 하다.
옛날 일을 지금 기억하신다 해서 어떤 행동을 취하실 여지는 별로 없다. 그저 자기 인식이 확충되는 것일 뿐이고, 그것도 인식하시는 순간 뿐, 기억으로 쌓이지도 않으신다. 그러나 그것이 바로 자유로운 인식의 조건이 아닐까? 행동의 부담은커녕 기억의 부담조차 없는. 요양원 옮기신 뒤로 언제 뵈어도 보살도에 이른 것 같은 모습이시다. 이런 상태에서 자유로운 자기 인식을 넓혀 드리는 것이 성불의 길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