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2. 14. 18:21
 


얼마 전 <프레시안> 강 기자가 메일 하나를 전송해 줬다. 두 분의 작가가 새로 만드는 잡지에 "행복과 불안"을 주제로 인터뷰를 요청하는 메일이었다. <망국 100년>에 전념하느라고 다른 일은 일체 피하고 지내는 터지만 뭔가 걸리는 데가 있어서 응할 생각으로 보내준 자료를 꼼꼼히 검토해 보았다.

사람 만나러 밖에 나가는 일은 엄두가 나지 않고, 짧은 글 하나 보내면 거기서부터 메일 몇 차례 주고받으며 인터뷰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며칠 전 "불안감의 정체"를 써서 보냈다. 그런데 다시 연락이 오기를, 일산까지 와서라도 만나고 싶다고 하는데, 마침 선생님 뵈러 서울 갈 일이 있었다. 그래서 아이필드 사무실에서 만나기로 했다.

선생님 방에서 일어날 타이밍을 잘 못 잡아 약속보다 십여 분 늦게 와 보니 두 분이 기다리고 있었다. 무슨 얘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도 없는 채 녹음기를 틀어놓고 얘기를 시작했다.

"헹복과 불안"이 주제라 했는데, "불안" 얘기는 바로 떠오르는 생각이 있어 써 보내면서 "행복"에 관해서도 필요하면 쓸 수 있는 게 있겠지,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막상 두 분과 얘기하며 생각을 더듬어 보니 "행복"이란 것은 내가 쓰기 어려운 주제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새 이준구 교수 홈페이지에서 옛날 얘기 주고받으며 새삼 느끼는 것이지만, 나는 어렸을 때 참 소심한 아이였다. 뭔가를 성취하려고 의욕적으로 나서는 일이 없고, 그저 두려운 것이 많아 피하는 데만 바빴다. 성격이 약하거나 내성적인 문제 정도로 생각해 왔는데, 그것이 나 나름의 인생관, 세계관이 비쳐진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요즘 든다.

그러다 이제 "행복"이란 말이 생각의 주제로 주어지니, 내가 어린아이의 소심함에서 벗어난 뒤에도 행복을 추구하는 노력을 별로 기울이지 않아 왔다는 사실이 생각난다. 뭔가 늘 열심히 해 오기는 했지만, 행복을 얻으려는 노력은 아니었다. 불행을 피하려는 노력이라면 몰라도.

몇 주 전 어머니께서 "나는 네 덕분에 행복하다."고 공치사를 하실 때도 좀 어색한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어머니, 행복하신 것보다 편안하신 것이겠죠." 슬쩍 비켜섰는데, 생활이 편안하시도록 도와드리는 건 몰라도 행복해지시라고 힘쓸 길은 내가 알지 못한다.

인생에 행복이란 게 없다는 생각은 아니다. 다만 그것이 객관적인 존재가 아니라 주관적인 표현이요, 인식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랑과 마찬가지다. 본인이 느끼면 존재하는 것이고, 느끼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행복이나 사랑을 얻기 위해 뭐든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이 쓸 데 없는 일이라고 나는 생각하고, 그저 장애 요인이나 힘껏 줄여놓고 그냥 기다리는 것이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이야기를 늘어놓다 보니 <망국 100년> 작업과 관련된 생각도 난다. (정말 너무 몰두하다 보니 "뭐 눈에 뭐만 보인다"는 지경에 이른 건지 모르겠다.) 그 작업의 초점을 나는 근대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의 반성에 두고 있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대다수 사람들이 지금 우리 사회에서처럼 돈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산다는 것이 과연 자연스러운 일이고 바람직한 일인가 하는 문제들을 떠올리고 있다. 그런데 2백년 전 우리 조상들이 요새 사람들처럼 사랑이나 행복에 생각을 많이 쏟으며 살았을까 하는 의문이 떠오르는 것이다.

그랬을 것 같지 않다. 또, 그렇다 해서 옛날 사람들이 요새 사람들보다 사랑을 덜 하고 행복을 덜 느꼈을 것 같지도 않다.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모두 "돈, 돈" 하며 산다 해서 사회 전체의 재부가 꼭 늘어날 것 같지 않다. 다소 늘어난다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신경 쓰고 노력 기울인 보람을 느낄 만큼 풍성하게 늘어날 리는 없다. 오히려 과당경쟁이 불필요한 비용을 유발해 재부를 줄이기가 더 쉬울 것 같다.

사람들이 "행복, 행복" 타령하며 사는 풍조에도 비슷한 문제가 있지 않을까? 가시적이 아닌 대상을 추구하는 노력이 필요 이상으로 넘치면 행복의 본질보다 그 수단에 매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표적인 수단이 돈이고. 눈에 보이는 수단에 매달리는 노력은 모르는 사이에 너와 나의 행복을 가로막는 장애물 노릇을 하고.

나는 금욕주의자가 결코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쾌락주의자에 가깝다. 내게 욕망이 있고 욕심이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욕망과 욕심이 인생을 너무 불편하게 만들지 않도록 조금 줄이고 억누르려 애쓸 뿐, 아예 없애버릴 생각은 꿈도 꾸지 않는다. 다만 욕망과 욕심이 커야만 훌륭한 사람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일부러 키우려고 애쓰지는 않는 것이다.

재기발랄하고 아름다운 여인들이 내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는 것이 즐거운 일이었고, 이따금 기분좋은 반응을 보여줄 때는 행복도 느꼈다. 이런 시간을 더 가졌으면 하는 욕심도 느끼고 더 찐한 장면으로 이어질 수는 없을까 하는 욕망도 느꼈다. 그러나 그런 욕심과 욕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만큼 내 행복이 커지리라는 망상에는 빠지지 않는다. 생긴 대로 놀면서 때때로 찾아와 주는 행복에 만족하는 것, 그것이 내게는 '안분자족'이다.



'사는 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유빠일까?  (24) 2010.03.10
내 몸을 맡아주실 분  (3) 2010.02.23
週 2회의 권리와 의무  (10) 2010.02.15
불안감의 정체  (7) 2010.02.09
회갑연?  (24) 2010.02.07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