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殷)나라 왕실 세계(世系)를 보면 형제간 계승이 태반이다. 이에 비해 그 뒤의 주(周)나라는 부자간의 계승이 엄격히 지켜졌다. 즉위 1년 미만에 왕이 죽은 경우 세 차례를 빼면 형제계승이 거의 없었다.
부자계승 원칙은 그 이래 중국 왕조체제의 뼈대가 되었다. 아무리 큰 능력과 세력을 가진 인물이라도 적장자(嫡長子)가 아니면 보위(寶位)를 쳐다보지 못하게 함으로써 갈등의 소지를 원천봉쇄한 것이다. 이 원칙은 조선에도 전해져 태종(太宗), 세조(世祖)처럼 실력으로 왕위를 차지한 임금들에게 큰 정치적 부담을 주었다.
주나라에서 부자계승이 확립된 것은 누구보다 주공(周公)의 공로였다. 은나라를 정복한 무왕(武王)은 죽을 때 동생 주공에게 어린 아들 성왕(成王)의 섭정을 맡겼다. 얼마 후 다른 동생들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이 은나라 잔당과 결탁해 반기를 들면서 주공이 조카 성왕의 자리를 넘본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이 반란을 평정함으로써 주나라 체제가 완성되었다고 한다.
부자계승의 원칙이 기정사실이 된 후세 사람들은 주공이 성왕 모신 것을 당연한 일로 여겼다. 그러나 주공 당시에는 힘있는 아저씨가 어린 조카의 왕위를 빼앗는 것이 오히려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하의 자리를 지킨 것이 공자가 주공을 성인(聖人)으로 받든 까닭이다.
주공의 처신은 도덕적으로뿐 아니라 시스템공학의 관점에서도 의미 있는 것이다. 형제계승의 시스템에서는 가장 능력 있는 사람이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한다는, 추장(酋長)의 의미에 임금자리가 머물러 있었다. 이런 시스템에서는 국가의 힘이 임금 개인의 능력범위에 제한을 받는다. 이 한계를 뛰어넘는 천자(天子)체제를 세운 주공을 중국역사의 개창자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대통령이 행정집행의 기능에 그치지 않고 국가의 모든 일에 초월적 권력을 행사해 온 대한민국 전통은 추장이 거느리는 부족국가 수준이다. ‘박정희(朴正熙) 신드롬’을 보거나, 대통령 또는 후보의 가족문제가 하고한날 정치권을 뒤덮는 것을 보거나 우리 국민이 대통령에 거는 기대는 줄어들지 않는 것 같다. 쌓이고 쌓인 실정(失政)과 비행(非行)으로 대통령의 권위가 만신창이가 된 오늘날이기에 더욱더 답답하다.
'미국인의 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방부 시계는 돌아간다. (97. 8. 21) (0) | 2011.12.07 |
---|---|
현대의 塞翁之馬 (97. 8. 15) (0) | 2011.12.07 |
사소(事小)와 사대(事大) (97. 7. 30) (0) | 2011.12.05 |
대쪽의 금석지감(今昔之感) (97. 7. 25) (0) | 2011.12.05 |
전쟁의 그림자 (97. 7. 18) (0) | 201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