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를 석권한 몽골 군사력의 장점은 어디에 있었는가? 기마병의 위력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보다 덜 알려진 또 하나의 장점은 공성술(攻城術)이었다. 페르시아와 러시아 지역에서 기마병은 익숙한 존재였고 그만큼 대비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몽골군이 금나라로부터 “싸우면서 배운” 투척기 등 공성술은 처음 당해보는 서방 세력에게 절대적 위력을 발휘했다. (중국과 이슬람권에서는 서로 다른 방식의 투척기가 발전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253년 훌레구의 페르시아 정벌 때는 중국인 투척기 기술자 1천 호를 데려갔고, 1272년에는 훌레구가 시리아 기술자를 보내 양양(襄陽) 공격을 돕게 했다고 한다. 토머스 올슨 <몽골제국의 상품과 교역> 9쪽)

 

13세기의 중국에는 공성술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국 군대가 다른 문명권으로 쳐들어가 그 기술을 써먹을 일이 없었다. 몽골군은 중국 발명품을 서방으로 가져가 그 가치를 마음껏 발휘한 것이었다. 공성술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군사기술만도 아니었을 것이다. 70년에 걸친 정복 기간 동안 여러 문명권의 기술과 제도 중 쓸모 있는 것을 꾸준히 채용함으로써 몽골군은 막강한 전투력을 키워나갔다. 그리고 방대한 영역을 통치하는 방법도 그 기간 중 진화를 계속했다. (Linda Komaroff 편 <Beyond the Legacy of Genghis Khan>에 실린 John M. Smith, Jr.의 "Julegu Moves West: High Living and Heartbreak on the Road to Baghdad", pp. 124-128)

 

문명권의 외곽부는 중심부와 달리 문명의 일부 요소만을 누린다. 그래서 외곽부의 유목민은 중심부의 농경민에게 ‘야만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목민이 누리는 문명의 ‘불완전성’이 오히려 농경사회에 대한 우위를 뒷받침해줄 때가 있다. 문명의 ‘패러다임 전환’ 단계에 이르면 변화에 쉽게 적응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새로운 단계에서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배후지로부터 확보할 조건도 외곽부가 유리하다. 중화제국과 북방 ‘오랑캐’ 사이에 수백 년을 주기로 밀고 밀리는 형세가 뒤집히기를 거듭한 것은 이 때문이다.

 

몽골제국의 흥기에서 새로 나타난 현상은 중국과 이슬람권, 두 개 문명권의 영향을 함께 받으며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두 문명권은 오랜 세월에 걸쳐 영역을 확장해 왔고, 특히 이슬람권은 7-8세기 ‘이슬람 팽창’을 통해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등 여러 고대문명권을 통합해서 대서양 연안으로부터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에 자리 잡고 중국과 함께 유라시아대륙의 양대 문명권을 이루고 있었다. 

 

두 문명권의 확장에 따라 양자 간의 접촉도 늘어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751년의 탈라스 전투 이후 직접 충돌이 없었던 것은 중화제국의 후퇴 때문이었다. 안록산의 난(755) 이후 당나라의 대외정책이 약화되었고, 5대10국(906-960)의 혼란을 정리하고 송나라가 일어선 뒤에도 서북방은 요-금과 서하에게 가로막혔다. 이 기간 중국과 이슬람권 사이의 교류에서는 남방 해로의 역할이 늘어났다. 그러나 이 해로는 인도에서 동남아시아에 이르는 힌두-불교 문명권을 지나가야 했고, 그 때문에 양대 문명권 간의 직접 교류보다는 말레이반도-말라카해협 일대를 분기점으로 하는 중계무역이 주된 양상이 되었다. 요컨대 양대 문명권 사이에는 교류의 잠재적 수요가 커지는 데 비해 교류의 실현이 미흡한 상태가 오래 계속된 것이다.

 

물리학 강의실에서 듣던 ‘3체 운동(three-body problem)’이 생각난다. 뉴튼 물리학에서 움직이는 두 물체 사이의 중력관계는 고전수학으로 충분히 표현된다. 그러나 세 개 이상 운동체(예컨대 해와 지구와 달) 사이의 관계는 표현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수학이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해야 했다는 이야기다. 

 

문명 간 교류에도 마찬가지로 관계의 주체가 둘일 때에 비해 셋이 될 때 그로부터 파생되는 변이(variation)가 엄청나게 늘어나는 것 아닐까. 그중에는 돌연변이(mutation)가 일어날 가능성도 커지는 것 아닐까. 8세기 이래 중국과 이슬람권은 상당한 거리를 두고 각자 발전해 왔는데, 13세기에 이르러 몽골을 중심으로 한 유목민 세력이 양쪽 문명권과 긴밀한 접촉을 가지면서 3체 운동을 이루는 제3의 운동체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몽골제국은 동쪽에서 얻은 자산으로 서쪽을 압박하고 서쪽에서 얻은 자산으로 동쪽을 공략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문명 간 중간세력의 흥기라는 점을 놓고 보면 육로의 중간에 위치한 유목민만이 아니라 해로의 중간에 있던 해양세력도 비슷한 기회를 맞지 않았을까? 7세기 말에 당나라 승려 의정(義淨, 635-713)이 인도에 다녀오는 길에 오래 체류한 스리비자야(Srivijaya)가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해양세력이었다. 스리비자야에게는 경쟁세력이 계속 나타났기 때문에 크게 확장되지도 못하고 오래가지도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단계에서는 해양보다 초원이 세력 확장과 활동의 확대에 적합한 지정학적 조건이었으리라고 생각된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