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의 “해방일기” 작업을 지난여름 마무리하면서 그 뒤를 이어 하고 싶은 일이 여러 갈래 떠올랐습니다. 두 달 동안 쉬면서 새 작업의 방향을 “냉전 이후”로 잡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두 달 동안 준비해서 이제 집필을 시작합니다.
“해방일기” 작업을 통해 해방된 이 민족이 분단 건국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며 몇 가지 전보다 확실한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중 중요한 하나가 분단의 근본적 원인은 내적인 것보다 외적인 것이었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내적 원인이 없었던 것이 아닙니다. 작은 이익을 위해 분단을 향한 길을 걸은 자들이 조선인 중에 적지 않게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에게 분단의 결정적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고 봅니다. 작은 이익을 위해 자기 사회를 배신하는 반역자는 언제 어디에나 있습니다. 그런 자들이 칼자루를 쥐게 된 원인을 따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앞서 “망국의 역사” 작업에서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임금의 무능과 무책임이나 몇몇 반역자의 죄악과 비교할 수 없는 큰 원인이 당시의 시대상황에 있었습니다. 서세동점은 최소한 왕조교체 한 차례는 겪지 않을 수 없는 너무나 거센 물결이었고, 때마침 조선을 삼키지 않고는 배기지 못할 이웃나라의 야욕이 있었기에 식민지로 전락했던 것입니다.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시점에서 일본의 패전으로 해방의 기회가 왔습니다. 하지만 그 기회도 민족국가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충분한 것이 못 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개된 냉전의 상황은 이 민족에게 제국주의시대보다 별로 유리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분단 건국을 피하고 제대로 된 민족국가를 세우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큰 노력을 기울였지만 한반도를 이용 대상으로 여기는 외세가 반역자들에게 실어준 힘을 이겨낼 수 없었습니다.
다시 40년이 지난 시점에서 또 하나의 기회가 왔습니다. 냉전의 주역이던 미국과 소련 정상이 1989년 12월 3일 냉전 종식을 함께 선언한 것입니다. 냉전이 한민족 분단의 결정적 원인이었다면, 그 종식은 민족 통일의 가장 중요한 조건을 이뤄주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그로부터 4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통일은커녕 평화협정조차 맺지 못한 채로 적대관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물론 25년 전과 달라진 것도 있지만 중국과 대만 사이의 양안관계와 비교가 되지 않는 초라한 상태입니다.
온 세계가 벗어난 냉전에 한반도만 묶여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일입니다. 강요하는 외세가 없는데도 우리 민족이 분단 상태를 좋아해서 매달려 있단 말일까요? 정말 이해하기 힘든 일입니다.
1980년대까지 냉전의 장벽은 우리가 넘어서기에 너무나 벅찬 장애물로 보였습니다. 민족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가 그 동안 나타나지 못한 것은 아쉽기는 하지만 어쩔 수 없었던 일로 접어두겠습니다. 그런데 냉전 종식 후 4반세기가 되도록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어떻게 이런 상황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인지, 이제부터 따져보려 합니다. 냉전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어떤 현상이었고 그 종식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 미국의 패권과 중국의 흥기가 21세기 한반도에 어떤 상황을 형성하고 있는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집권세력은 민족문제 해결에 어떤 자세로 임해온 것인지, 힘닿는 대로 따져보려 합니다.
1주일에 두 차례씩 생각을 정리해 올리겠습니다. 20여 년 전 학교를 떠난 후 언론계 주변에서 활동해 오며 “역사를 시사로 보고 시사를 역사로 읽는” 자세를 추구해 왔습니다. 이번 작업에서는 그 자세를 특히 철저하게 지켜보려 합니다. 전문가로서 권위 있는 견해를 내놓는 것이 아니라, 이 시대를 사는 한 사람으로서 상식적인 이해를 얻고자 노력하는 것이니 독자 여러분도 의견을 많이 나눠주시기 바랍니다.
'냉전 이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통일은 대박”? 민족문제는 로또가 아니다. (8) | 2014.01.14 |
---|---|
(4) 몰타에서 종식된 냉전은 동유럽의 냉전이었다. (0) | 2014.01.11 |
(3) 냉전 종식으로 드러나는 미국의 본색 (12) | 2014.01.04 |
(2) 1992년 9월 훈령 조작 사건 2 (5) | 2013.12.10 |
(1) 1992년 9월, 훈령 조작 사건 1 (3) | 201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