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nty Moore, The Emperor's Virtual Clothes / The Naked Truth about Internet Culture
"인터넷은 산만한 장난감에 불과"
우리 사회에도 인터넷 바람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아직까지는 인터넷 이용자가 국내 통신 인구 1백만 명에 비해 비교적 적은 25만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지만 매일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지금과 같은 확장 속도가 계속된다면 10년 내 세계 인구의 대다수가 인터넷에 가입할 전망이라 한다.
급격한 변화 앞에 극단적인 우려와 기대가 엇갈리고 있다. 조지 오웰의 예언과 같이 개인의 인격이 매몰되는 사회가 올 것인지, 거꾸로 인간의 평등과 자유가 극대화되는 컴퓨토피아가 펼쳐질지, 인터넷은 너무나 큰 변수로 우리 앞에 닥쳐 있는 과제다.
작가이자 영문학 교수인 딘티 무어는 1994년 여름 출판사로부터 많은 독자들을 대신해 인터넷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그 잠재력을 문화적-사회적 시각에서 검토해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이에 따라 1년간 인터넷을 둘러보고 쓴 기행문이 <벌거벗은 임금님>이다. 그의 검토가 얼마나 정확한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아직 인터넷을 깊이 살펴보지 못한 독자에게는 인터넷을 이해하는 좋은 길잡이가 되겠다.
무어는 먼저 '주제토론장'(Usenet)을 찾아간다. 1만여 개의 게시판에서 수십만인지 수백만인지 모를 사람들이 꾸준히 의견을 주고 받고, 모욕을 주고 받는다. 쓰레기처럼 뱉어놓은 말들이 도처에 쌓이고 있지만 그 틈으로 요긴한 도움이 오고가기도 하고 공간을 초월한 인정이 피어오르기도 한다.
무어는 계속 가상공간 속에서 인간의 모습을 더듬어나간다. 사랑을 얻는 사람들, 잃었던 사랑을 되찾는 사람들, 관계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사람들의 훈훈한 이야기를 도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언제든 부담스럽게 느껴지면 스위치를 눌러 빠져나갈 수 있다는 손쉬운 안전성이 새로운 기회를 사람들에게 열어준다. 자기 마음이 내킬 때 이야기를 꺼내고 마음에 드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어떤 사연을 가지고도 대화 상대를 찾을 수 있는 곳이 인터넷이다.
이런 해방감이 사람들에게 약이 되는 것만은 아니다. 달콤하고 편안한 가상관계에만 빠져들며 현실감각을 잃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무어는 정신건강에 대한 통신의 위협을 본질적인 문제로 보지 않는다. 현실에 존재하는 문제가 가상공간의 특성에 의해 증폭돼 나타나는 것뿐이며, 문제를 쉽게 인식하도록 해준다는 면에서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개인적 문제보다 무어가 더 조심스럽게 바라보는 것은 통신의 사회적 측면이다. 통신이 시민 간의 의사소통을 극대화함으로써 민주제도의 궁극적 완성을 불러오리라는 일부의 희망적 관측에 그는 회의적이다. 지금까지 정치계에서 인터넷을 활용해 온 실적이 민의 수렴보다 정책 홍보에 치우쳐 왔음을 확인하며 이 추세가 바뀌지 않으리라 보는 것이다. 이념의 문제를 기술이 해결해줄 것을 그는 기대하지 않는다.
인터넷에는 임자가 없다. 1969년 미 국방부가 만든 알파넷(ARPANET)에서 그 기원을 찾기도 하지만 거기에는 별 의미가 없다. 컴퓨터를 전화선으로 연결하는 기술적 조건이 이뤄진 이상 알파넷이 아니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인터넷은 조직됐을 것이다.
현재 4천만 명이 가입돼 있고 계속 빠르게 자라나고 있는 이 조직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구는 없다. 국경을 초월한 이 조직을 어떤 국가가 관리할 수도 없고, 유엔처럼 비효율적인 기구가 힘을 쓸 것 같지도 않다. 가입자들이 제각기 할 수 있는 일,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결과가 어우러져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정보고속도로 건설이 이 같은 무정부상태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도 미지수다. 통신 용량을 확장하는 정보고속도로의 막대한 건설 비용은 대부분 기업의 투자로 충당될 것이 예상된다. 그 투자 동기는 어디에 있으며 어떤 방법으로 관철될 것인가. 대형 소비산업이 이 건설사업에 참여해 정보 접근에 유리한 자리를 차지할 때 과연 어떤 마케팅 활동이 세상을 어떻게 휩쓸지 볼 만할 것이다. 소비자 개개인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장악하는 대기업, 조지 오웰의 빅브라더가 바로 이런 것 아니겠는가.
한편 무어는 월드와이드웹(WWW)의 장래에서 휴머니즘의 무한한 발전을 생각해보기도 한다. 쉽고 친근감을 주는, 언어도 필요없이 그림을 보고 마우스만 누르면 되는 화상 컨트롤이 월드와이드웹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런 특징이 극한으로 발전해 마우스 입력마저 필요없게 되고 인간의 정신이 곧바로 인터넷에 접속하게 된다면? 인류의 정신이 합일하는 길이 여기에 있지 않나 하고 꿈을 그려보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1년 간의 답사를 끝낸 무어는 인터넷이 결국 인간의 모습을 비춰줄 뿐이라고 본다. 인간을 인간 아닌 다른 존재로 바꿔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자연주의자 헨리 데이빗 소로(1817~1862년)의 말이 인터넷에도 맞는다고 무어는 인용한다. "발명품이란 대개 우리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예쁘장한 장난감에 지나지 않는다. 목적은 개선하지 않고 방법만 개선하려 들기 때문이다." (1996년 1월 28일)
'페리스코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하워드 가드너 <지도자의 정신> (0) | 2013.10.01 |
---|---|
[서평] 앨프리드 엑스 주니어 <미국 시장 개방의 길> (0) | 2013.09.07 |
[서평] 리처드 리키, 로저 리윈 <제6의 절멸> (3) | 2013.09.04 |
[서평] 피터 코브니, 로저 하이필드 <복잡성의 무한한 지평> (0) | 2013.09.01 |
[서평] 나일스 엘드리지 <인간의 권능> (2) | 201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