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12월 22일 런던에 있던 폴란드 망명정부 카초로프스키 대통령이 사임했다. 후임자는 없었다. 망명정부는 1939년 9월 파리에서 세워진 지 51년 만에 사라졌다.


본국에서 바웬사 대통령이 당선되었을 때였다. 망명정부는 대통령기와 휘장, 국새, 1935년 헌법 원본 등 제2공화국의 유산을 바웬사 정부에게 넘겨주었다. 그래서 바웬사 정부는 공산정권을 청산하면서 제2공화국의 법통을 이어받을 수 있었다.


폴란드 공화국이 독일과 소련에게 유린당할 때 파리에 체류 중이던 상원의장 라츠키에비츠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세워진 망명정부가 임시정부(provisional government) 아닌 망명정부(government in exile)였던 것은 제2공화국의 법통이 연속되었기 때문이다. 폴란드의 1935년 헌법에는 이런 규정이 있었다.


전쟁 중에는 대통령직의 임기가 전쟁 종료 3개월 후까지 연장된다. 그런 상황에서 공화국 대통령은 전쟁 종료 전에 대통령직이 궐위될 경우에 대비해 후계자를 지명한다. 지명된 후계자가 승계할 경우 그 임기는 전쟁 종료 후 3개월까지다.


1939년 9월 독일과 소련의 침공을 받자 모슈치츠키 대통령은 17일에 라츠키에비츠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30일에 사임했다. 라츠키에비츠는 즉각 파리에서 대통령에 취임하고 망명정부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듬해 6월 프랑스가 나치에 항복함에 따라 폴란드 망명정부는 런던으로 자리를 옮겨 50년 후까지도 국무회의를 격주로 열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폴란드 망명정부의 역할은 작은 것이 아니었다. 폴란드 해군의 거의 전부, 그리고 수만 명의 육군이 폴란드를 벗어나 나치에 대한 항전을 계속했다. 1941년 6월에 소련이, 그리고 12월에 미국이 참전하기 전에 연합군 중에서 폴란드군이 영국군과 자유프랑스를 이어 세 번째로 큰 군대였다. 소련 참전 후 동부전선에서 편성되어 소련군 지휘계통에 편입된 폴란드 부대도 망명정부의 지도를 받았다. 폴란드 국내에도 망명정부를 따르는 독립군(Armia Krajowa) 세력이 있었다. 연합국들은 모두 폴란드 망명정부를 승인했다.


1943년 4월 독일이 카틴 숲 학살을 공개한 것은 연합국 사이를 이간시키기 위해서였다. 1939년 폴란드 동부에 침공한 소련군이 끌고 간 장교급 포로들을 학살한 사건이다. 독일은 1만 명이 학살당했다고 했는데, 그 후 4,443구의 시체가 확인되었다. 소련은 이 공개가 조작이라고 주장했고, 다른 연합국들은 그 해명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폴란드 망명정부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스탈린은 폴란드 망명정부와의 관계를 끊었다.


연합국 지도자들, 특히 처칠은 폴란드 망명정부와 소련 사이의 관계를 회복시키려고 애를 많이 썼다. 그러나 폴란드 망명정부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일 몇 가지가 있었다. 카틴 학살만이 아니라 1939년 침략 때 소련의 여러 가지 만행을 소련이 인정조차 하지 않고 있었다. 그리고 소련은 전쟁 후 1939년에 점령했던 폴란드 영토를 돌려줄 생각이 없었다. 그리고 폴란드에 공산정권을 세우려는 소련의 집념도 망명정부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다.


1944년 말 폴란드 지역으로 진군해 들어가면서 소련은 망명정부를 무시하고 공산정권 수립 준비를 시작했다. 1945년 1월 1일을 기해 임시정부를 출범시키고 2월 초에 열린 얄타 회담에서 이것을 기정사실로 주장했다.


얄타 회담 때까지도 연합군의 승리는 소련의 역할에 걸려 있었다. 그런데 그 시점에서도 20만의 폴란드 장병들이 영국군 지휘 아래 독일군과 싸우고 있었다. 얄타 회담에서 폴란드에 대한 배신은 이른바 ‘서방의 배신’(Western Betrayal) 중에서도 제일 비열한 사례로 꼽힌다. 처칠은 귀국한 후 의회에서 곤욕을 치렀고, 의원 한 사람은 항의하는 뜻으로 의원직을 사임하기까지 했다.


폴란드 국내의 독립군은 망명정부를 받들고 있었다. 망명정부는 독립군이 소련군과 ‘전술적 협조’를 하도록 지도함으로써 민족주의 세력의 발언권을 확보하려고 했다. 소련군은 이에 불응, 1944년 8월에서 10월까지 바르샤바 봉기에서 독립군이 궤멸당하는 것을 강 건너에서 구경하고 있기까지 했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소련과 폴란드 공산정부는 독립군과 영국군 항전자들을 오랫동안 탄압했다. 15만의 폴란드인이 귀국을 거부해서 영국 의회는 이들을 위해 이민법을 개정해 줘야 했다. 그 15만과 그 자손들이 1990년까지 망명정부를 지탱해 왔다. 망명정부 청사로 쓰던 옛 대사관 건물을 영국 정부가 폴란드 공산정부에게 넘겨주자 대통령 사택으로 사무실을 옮겼다. 그리고 자유로운 공화국이 반세기만에 폴란드에 되살아나자 망명정부를 거둔 것이다.


1945년 8월 28일 상해에서 한국독립당이 대표대회를 열고 선언문을 발표했다.


본당은 先祖先烈의 장엄한 전통적 민족정기를 계승하여 민주독립의 위대한 시대적 정신에 기인하여 玆에 국내외 동지 동포에게 정중히 선언을 발표한다.

본당은 유구한 역사적 계통을 가진 반일투쟁을 계속하여 강렬히 전개하여 왔다. 그러나 우리의 투쟁대상이 소멸된 이때에 있어서는 과거를 다시 검토하면서 신단계의 임무를 규정하지 아니하지 못하게 되었다.

일본제국주의가 한국에 침입한 이후 70年來로 우리는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하여 분전하였다. 이것은 왜적을 撲滅하고 조국의 완전한 주권을 쟁취하려는 민족정신의 표현이었다. 회고하건대 甲申革命, 甲午更張, 의병의 遊擊戰, 獨立協會, 大韓自强會, 反日救國, 除奸 3·1大革命 等은 그 대표적 운동이었다. 그 발전과정에 있어서 비록 객관적 정세로 인하여 그 環節의 大小가 不一하고 형태가 不同하였지만 금일까지 꾸준히 생장하고 발전하여 왔다. 그 최후의 環節이 곧 韓國獨立黨이다. 따라서 혁명역사가 韓國獨立黨에게 부여한 임무는 원수 일본의 침탈세력을 撲滅하고 조국을 완전 광복하는 것이다. 본당은 如斯히 유구한 연원을 가진 광영스러운 역사적 임무를 완성하기 위하여 우리의 민족운동을 復國, 建國, 治國의 階段으로 分期 進行할 心要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특히 건국과 치국의 全 과정을 통하여 본당의 일관한 목표는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기초로 한 신민주국을 건립하는 동시에 族與族 國與國의 평등을 실현하고 나아가 世界一家의 진로로 향함에 있는 것이다.

(...)

우리는 본당의 黨義와 수정한 黨綱과 黨策을 친애하는 동지 동포앞에 제공하여서 공정한 비판을 청한다. 이에 공명하는 자매형제여 韓國獨立黨의 기치하로 모이자. 조국의 완전한 독립을 성취하며 또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기초로 한 신민주국을 완성하기 위하여 공동분투하자!


大韓民國27年 8月 28日

韓國獨立黨 第8次 臨時代表大會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임시정부 쪽에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틀 뒤에는 임시정부 대표들이 중경 미 대사관을 방문해서 귀국 희망을 표명했다. (<한국 현대 민족운동 연구>(서중석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275쪽) “미국식 민주주의를 신봉하고 기독교 신자가 많은 자신들이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공산주의자들의 대거 입국 때문에 희망을 잃고 있다고 표명하고, 임정의 지도적 요인들이 점령군의 보좌역 또는 통역의 자격 등으로 입국시켜 줄 것을 요망하면서, 미국의 도움으로 입국한다면 그들은 미 점령군이나 혹은 국무성의 의사에 반하는 일을 결코 하지 않을 것이라는 비망록을 남겼다.”고 한다.


임정 대표들이 공산주의자들을 들먹인 것을 서중석은 “미국 정부로 하여금 대소 경계를 불러일으키게 하기 위한 극우적 발상”이라고 했는데 너무 각박한 논평 같다. 누추한 자세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몇 달 전 폴란드 사람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 이 사람들이 알고 있었으리라는 가정 아래 다시 살펴보기 바란다. ‘얄타의 배신’은 상당 기간 서방 언론을 도배한 주제였는데, 중경의 임정 인사들은 서방 언론을 접하고 있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