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건국준비위원회 기획부 全鮮職域自治組織本部에서는 26일 전선 각 회사, 공장 등 직역 종업원들에게 격을 발하여 직역별 자치회를 시급히 조직하여 자원 확보와 앞으로의 운영에 만전을 다할 것을 요망하는 한편 본부와의 연락을 구하였다.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건국준비위원회(건준)가 총독부와의 협조관계와 지도자들의 성망을 발판으로 사업을 시작했지만, 날자가 하루하루 지나감에 따라 “자원 확보”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당면한 질서 유지에서 시작해 정치의 불모지 위에 전국적 정치조직을 형성해 나간다는 건준의 목표 성취를 위해서는 방대한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이 필요했다.
여운형과 안재홍이 건준에 끌어들이기 위해 가장 공들인 상대가 송진우였다. 그들이 송진우를 중시한 까닭이 개인의 성망만이 아니었을 것 같다. 대중에 어필하는 성망으로 보자면 조만식, 홍명희 등 송진우보다 더 그럴싸한 인물이 많이 있었다. 신문사 대표를 지내본 두 사람은 역시 신문사 대표로서 송진우의 영향력과 교섭력을 중시했을 것 같다. 그리고 김성수가 대표하는 자본가 그룹과의 유대관계를 고려하지 않았을 리 없다.
15일에서 25일 사이에 건준 지도부와 송진우, 그리고 자본가 그룹 사이에 어떤 이야기가 어떤 채널을 통해 오고갔는지 밝혀주는 자료는 별로 없다. 그러나 양측의 입장으로 봐서 긴장된 의논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9월 이후 양측의 대립은 이 시기에 보이지 않는 뿌리를 둔 것이 분명하다. 이 뿌리를 더듬기 위해 오늘도 추측을 좀 많이 해야겠다.
자본가란 식민통치자와 아무런 협력관계 없이는 성립할 수 없는 존재였다. 군국주의 정책에 앞장서는 적극적 협력은 말할 것도 없고, ‘민족 자본’의 간판을 내걸고 통치자와 거리를 두는 입장이더라도 다년간 다방면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협력이 필요조건이었다.
식민통치 종식이라는 체제 변혁 앞에서 자본가 그룹은 갈림길에 섰다. 계급 모순의 해결을 앞세우는 공산주의자들에게 그들은 무조건 타도의 대상이었다. 비교적 양심적이라고 자부하는 자본가들은 옥석구분(玉石俱焚)의 억울함을 느꼈을 것이다.
공산주의의 위협이 없었다면 자본가 그룹 속에서 분화 현상이 크게 일어났을지 모른다. 어느 사회에서나 사업가들 중에는 경제 논리에 따라 성실한 경영을 하는 정상적 사업가들과 정치 논리를 끌어들여 부당이득을 노리는 투기적 모리배들이 있다. 투기적 모리배들이 일제 말기 상황에서는 적극적 친일에 발 벗고 나서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스스로 정상적 사업가를 자임하는 자본가들은 그들과 다른 길을 택할 수 있었다.
자본가 전체에 대한 공산주의의 무조건적 위협이 실재하는 것이었을까? 절대적으로 단정할 수 없는 일이지만, 이 위협이 그리 심각한 것은 아니었는데 자본가 그룹에서 과장해서 인식한 것이 아닐까 나는 추측한다. 원론적으로는 자본계급의 전면적 숙청 주장이 좌익에 있었다. 그러나 실질적 저항의 길이 막혀 있던 식민지배 상황에서는 이상주의적이고 극단적인 주장에 비중이 있었겠지만, 식민지배가 해소된 상황에서는 좌익에서도 보다 현실적인 주장이 힘을 얻게 되어 있었다.
여운형을 공격한 사람들은 그를 좌익으로 몰아붙였고, 그를 옹호한 사람들은 이것을 부인했다. 이것은 ‘좌익’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린 문제라고 나는 본다. 오늘날의 기준으로는 좌익으로 볼 만한 사람이 아니지만, 군국주의 일본의 기준으로는 좌익일 수 있었다. 그를 좌익으로 몰아붙인 사람들은 군국주의 일본의 뒤를 따른 것일 뿐이다.
아무튼, 여운형이 송진우를 통해 자본가 그룹의 협조를 청한 것은 좌익과 자본가 그룹 사이에 타협의 길을 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합리적이고 정상적인 사업가들을 향한 이런 메시지가 들리는 것 같다.
“당신들은 부득이한 상황에서 본의 아니게 식민지배에 협조한 문제를 다소간 가지고 있소. 그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로 건준 사업에 협력하시오. 좌익에는 자본계급 전체를 타도해야 한다는 극단적 주장도 있지만, 보다 합리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당신들이 민족사회에 자발적으로 공헌하는 책임지는 자세를 보인다면 좌익의 여론도 당신들을 옹호하는 쪽으로 움직이고 일부 악질적 자본가들만이 공격의 대상이 될 것이요.”
송진우가 건준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자본가 그룹이 이 제안을 거절했기 때문일 것이다. 자본가들은 건준보다 뛰어난 정보력을 가지고 있었다. 총독부만 하더라도 겉모양은 건준과 협력하면서도 속으로는 자본가 그룹과 더 긴밀한 협력을 꾀하면서 최고급 정보를 제공했을 것이다. 합리적 사업가라면 체제 변혁이라는 큰 고비에서 안전한 타협의 길을 택하기 쉽다. 중국에서도 국공내전(1945~49)의 막바지에 이르면 대다수 자본가가 공산당에 귀의하고 일부만이 국민당을 따라갔다.
자본가 그룹이 타협의 길을 거부하고 한민당 결성에 나선 것은 미 군정의 성격이 어떤 것이 될지에 관한 상당히 정확한 정보를 얻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을 반공의 보루로 삼기 위해 기존 체제를 가능한 한 온존시키려는 맥아더 사령부의 정책은 15일의 항복 선언이 나올 시점에서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것이었다. 맥아더 사령부가 지휘하는 남한 군정이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존 체제 온존을 꾀하리라는 것도 총독부의 정보력으로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일이었다.
26일에 이르러 건준에서 직역별 자치회 결성을 독려하고 나선 것은 자본가 그룹의 협조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성망과 명분만으로는 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었다.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이 필요했다. 산업 현장이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할 만한 조직력을 가진 대안이었고, 그곳은 좌익의 영향력이 큰 곳이었다.
인적-물적 자원을 산업 현장에서 찾게 되고서는 건준의 좌경화는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자본가 그룹과 그 뒤의 보수층이 건준을 통해 체제 변혁에 나서는 길이 이로써 막히게 되었다.
'해방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5. 8. 30 / 아직 완성품은 아니었던 민족의 자산, 임정 (0) | 2010.08.30 |
---|---|
1945. 8. 27 / 폴란드의 비극에 비쳐진 연합군의 정체 (5) | 2010.08.26 |
1945. 8. 25 / 중도파의 몰락과 극단파의 득세 (4) | 2010.08.25 |
1945. 8. 24 / 대도시 주민조직의 향배 (0) | 2010.08.23 |
1945. 8. 23 / 소련군의 인민위원회 지지 (4) | 201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