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는 역사의 대목대목에서 역할이 컸던 존재이지만 현대인에게는 그 모습을 정확히 떠올리기 어려운 대상이다. 피라미드를 쌓던 노예에서 미국 목화밭에서 일하던 노예까지 온갖 노예의 모습 사이에는 여러 시대 여러 사회 지배집단의 모습 못지않게 큰 편차가 있었을 텐데... 제도로서 노예가 없는 현대사회에서는 노예가 추상적 존재가 된 것 같다. 노예의 역할을 크게 다룬 책은 중점을 두고 살펴 왔지만, 늘 장님 코끼리 만지는 기분이다. <엉클톰스캐빈>에서 굳어진 노예의 모습은 역사의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나타나는 노예의 실제 모습을 바라보는 데 방해만 된다.
오늘 도착한 패터슨의 책 서문과 2018년에 덧붙인 서문을 읽으면서 기대감이 올라간다. 역사사회학 관점에서 쓴 책인데, 그런 연구방식이 사회학계에서는 퇴조한 반면 다른 여러 분야에서 관심을 끈 데 보람을 느낀다는 2018 서문의 회고가 흥미롭다. 1980년대 이후 연구 동향의 전개에 관한 내 생각이 맞아떨어지는 현상 같아서다. 근현대 유럽인의 인식을 넘어서는 과거에 대한 시각이 떠오르는 '탈-근대'의 변화가 내가 기대하는 방향이다.
패터슨이 태어나 자라날 때까지도 자메이카에는 노예제도의 흔적이 짙게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런 사회의 특수계층 아닌 학생에게 학문의 길이 넓게 열린 첫 세대에 패터슨 자신도 속했다고 한다. 노예의 본질을 "social death"로 규정하는 패터슨의 관점에 기대가 가는 것은 그의 출신 환경이 노예 본인의 시각에 접근하기 좋은 것처럼 생각되기 때문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Orlando_Patterson
Orlando Patterson - Wikipedia
Historical and cultural sociologist Horace Orlando Patterson OM (born 5 June 1940) is a Jamaican historical and cultural sociologist known for his work regarding issues of race and slavery in the United States and Jamaica, as well as the sociology of devel
en.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