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동 씨에게 배우시오
1976년의 미국 대통령선거는 상당한 접전이었다. 인권과 정의, 도덕성을 내세운 민주당의 카터 후보는 51% 득표율로 297인의 선거인단을 획득, 240인을 얻은 공화당의 포드 후보를 물리쳤다. 이 선거에서 카터의 승리에 결정적 공헌을 한 인물의 하나로 칠레의 군사독재자 피노체트가 꼽힌다.
선거 두 달 전 워싱턴 시 한복판에서 폭탄테러가 있었다. 희생자는 주미대사를 지낸 일이 있는 칠레의 망명인사 레텔리에와 한 미국인 동료였다. 칠레 군사정부의 소행이 분명한 이 테러는 피노체트를 감싸 온 공화당정부를 곤경에 빠뜨렸다.
1973년 9월의 쿠데타 이후 몇 년 동안 13만 명을 투옥, 고문하고 수천 명을 학살한 피노체트는 인권탄압의 세계적 상징이 됐다. 모든 서방국가들이 피노체트 정권을 비난하는 가운데 미국만은 그를 반공의 동지, 시장경제의 수호자로 치켜세웠다. 그의 집권과정을 미국이 도왔다는 공공연한 비밀은 이제 미국의 비밀문건 해제로 밝혀지고 있다.
미국정부의 비호를 과신한 것이었을까. 아니면 9월만 되면 피를 봐야 하는 광증이 도졌던 것일까. 대통령궁을 탱크로 깔아뭉갠 것도 9월이었다. 이듬해 9월에는 피노체트의 전임 참모총장 부부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자동차 폭탄테러를 당했다. 다음해 9월에는 이탈리아에 망명 중인 칠레 정치인 부부가 총탄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다시 1년 후 이번에는 워싱턴에서 레텔리에가 자동차 폭탄테러의 표적이 됐다.
카터 정부는 이 사건을 파헤쳐 칠레 정보부장 콘트레라스의 개입을 밝혀냈다. 피노체트 퇴출의 길을 후에 열어줄 1980년 국민투표도 미국의 비호를 잃었기 때문에 국내 지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했던 것이다. 미국의 ‘우방’ 독재자에 대한 태도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피노체트가 권좌에서 물러난 뒤 콘트레라스는 재판에 회부돼 유죄판결을 받았다. 재판은 칠레 법정에서 받았지만 증거는 모두 미국에서 모아놓은 것이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콘트레라스는 당시 정보부의 권력이 피노체트에게 있었고 정보부장인 자신은 그 하수인일 뿐이었다고 항변하고 있다.
보스가 물러나며 자기 앞만 가리고 졸개 사정은 나 몰라라 하니 졸개도 보스를 물고 늘어져 자기 책임을 줄이려는 판이다. 그 바람에 피노체트 체포를 시큰둥하게 쳐다보고 있던 미국에서까지 그 사법처리를 지지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깡패질을 하면서 의리마저 없다니 정말 한심하다. 쯧쯧. (1998)
이명박-원세훈 시절 국정원의 엽기적 행각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원세훈의 책임은 상당 수준까지 드러나고 있는데, 이명박의 책임은 과연 어디까지 확인될까? 당시 대통령이 국정원장을 지휘하던 방식에 비추어 이명박의 직접 책임을 밝힐 증거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명박의 운명은 원세훈의 입에 달려 있는 셈이다.
위 글에서는 칠레 독재자와 그 정보부장의 관계에 비겨 장세동의 의리를 찬양했지만, 사실 의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피노체트는 독재의 총체적 책임이 밝혀져 모든 영향력을 잃었기 때문에 그 부하가 의리를 지키더라도 보상해 줄 능력이 없는 상황이었다. 반면 전두환은 감옥에 가기는 했지만 그 옹호세력이 큰 영향력을 지키고 있었다. 장세동의 의리는 공리적 기준에서 합리성을 가진 것이었다.
원세훈은 과연 장세동의 길을 걸을 것인가, 콘트레라스의 길을 걸을 것인가? 내기를 한다면 그가 의리를 지킨다는 데 십원을 걸겠다. 의리가 강한 한국인의 특성 때문이 아니다. 입을 다무는 편이 공리적 기준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자기가 뒤집어쓰고 설령 무기징역을 맞더라도, 보스만 지키고 있으면 몇 년 안 있어 풀려나리라고 그는 믿고 있을 것이다. 나도 그렇게 믿고 있다.
'페리스코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단과 통일의 역사적 진단과 전망 (0) | 2017.12.07 |
---|---|
재산권의 과잉 보호, 계속될 수 있는가? (0) | 2017.10.09 |
너무나 뒤늦은 질문: "이게 나라냐?" / 홍석률 <민주주의 잔혹사> (2) | 2017.05.27 |
3D프린터가... (3) | 2017.04.05 |
개성공단, 세월호, "사드 보복" 닮은 꼴 (0) | 2017.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