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 "해방일기" 작업을 끝내며 내 몸에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장기간의 집중 작업을 거치고도 특별한 문제를 느끼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욕 감퇴나 가벼운 당뇨 증세 정도는 자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살아오는 동안 몸 아끼는 마음을 별로 일으키지 않고 혹사를 한 일이 많은데도 이만큼 내 존재를 뒷받침해주는 것이 고맙지 않을 수 없다.

 

일전에 말한 바 술과 안경을 멀리하게 된 것이 노년으로 접어드는 변화를 순탄하게 받아들이는 자세의 예시일 것 같다. 술을 억지로 삼가려 애쓴 것이 아닌데 일에 바쁘다 보니 저절로 줄게 되고, 그것이 몸 상태의 변화에도 맞는 방향이라서 그대로 습관이 된 셈이다.

 

안경을 안 쓰게 된 변화의 의미를 당장은 잘 몰랐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크게 느껴진다. 마음이 순해진다고 할까? 현대인에게는 외부의 현상을 적극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일반적인 강박으로 작용한다. 그 파악의 가장 중요한 통로가 시각이다. 안경 안 끼고, 대충 보이는 대로 보면서 살려니 "왜 전에는 뭐든지 못 보면 안 되는 것처럼 악착같이 잘 보려고 애쓰며 살았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마침 근대문명에 관한 공부에서도 현대인의 강박에 관한 생각이 떠오르는 참인데, 생활습관의 변화가 강박을 벗어나는 방향이라면, 내 공부가 자연스러운 실천의 단계에 접어든 게 아닌가 하는 흐뭇한 마음까지 든다.

 

작년 건강검진 때 양쪽 시력이 1.0 전후로 나와서 깜짝 놀랐다. 중학생 때 흑판이 안 보이기 시작해서 양쪽 다 0.1로 측정을 받고 안경을 끼기 시작한 이래 시력이 다시 좋아질 수 있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는데. 이 얘기를 듣고 듣기 싫은 소리 잘하는 한 친구는 "근시에서 원시로 넘어가는 과도기 현상일 거요." 했지만, 과도기면 어떤가? 그만큼 기간이 긴 과도기라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

 

지금의 건강 상태에 대체로 만족하면서, 이 만족스러운 상태를 잘 지켜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주치의를 잡은 것이 다연한의원 김형찬 원장이다. 그 전에도 두어 군데 한의원을 기웃거려 봤는데, 모두 믿음직한 분들이지만 김 원장은 각별히 편안한 분이다. 프레시안에 연재하는 글을 보고 그 미니멀리즘 취향이 마음에 들어 찾아간 건데, 실제 진료에 접해 보고 그의 "知行一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의사로서 그의 능력과 자세에 어떤 한계와 문제점이 있다 하더라도, "과잉진료"의 염려는 절대 할 필요가 없는 분이다.

 

욕심 줄이는 것을 퇴각 전략의 골자로 삼는데, 건강 욕심도 마찬가지다. 지금보다 기운이 늘어날 꿈은 꾸지도 말고 있는 기운이나 아껴서 쓸 생각이다. 억지로 기운을 일으키면 그만큼, 또는 그보다도 더 많은 보이지 않는 부담이 생길 것으로 믿는다. 사람들이 다 이런 믿음을 가진다면 망하는 사업이 많아서 국가경제가 흔들릴까?

 

작년 초가을에 어쩌다 일 욕심이 크게 일어나 김 원장에게 부탁한 일이 있다. "내가 건강에 크게 돈 쓰거나 힘 쓰는 마음이 없는 사람인 줄 아시겠지만, 모처럼 건강 증진을 위해 돈과 시간을 쓸 마음이 일어났으니 적극적인 처방을 한 차례 내주시겠습니까?" 기특해 하는 눈빛으로 쳐다보더니, 큰 처방을 내려면 얼마동안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리고 반년쯤 지난 뒤에 이르기를, "큰 문제 없는데, 그냥 그렇게 사시면 안 됩니까?" 그때쯤은 일시적으로 일어났던 욕심도 가라앉은 터라 그냥 그렇게 살기로 했다. 그 의사에 그 환자다.

 

근 30년 전, 마흔을 바라보는 나이에 아버지 일기에 접한 후 한 가지 정형화된 악몽에 꽤 시달린 일이 있다. 꿈속의 내가 갑자기 이승을 떠나 유령 신분으로 그 후에 벌어지는 일을 바라보는데, 내 살던 흔적이 사람들에게 드러나는 광경을 바라보며 엄청 쪽팔려 하는 꿈이다. (유령도 쪽팔림을 느낄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마흔 안 된 나이에 불시에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의식하면서 내 어지러운 생활과 설익은 공부에 대한 자격지심이 나타난 꿈으로 생각한다. 10년 전 저술활동을 시작하면서 뜸해지기 시작해, 이제는 남의 꿈처럼 느껴진다.

 

앞으로 이 세상에 얼마동안이나 더 있게 될까? 내 맘대로 정할 수 없는 일인데, 절박한 마음이 들지 않아 다행이다. 몇 년이나 더 사나 하는 기간보다, 어떤 상태로 사나 하는 생존-생활 방식이 더 절실한 문제로 생각된다. 공부하고 발표하면서 오랫동안 살아온 방식이 오래도록 계속되기 바라지만, 그에 대한 집착도 줄여나가게 될 것 같다. 전에 비해 "멍 때리기"를 좋아하게 된 것은 좋은 징조다.

 

어머니의 마지막 몇 해를 가까이 모신 것이 내 존재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는 데도 좋은 계기였다. 그분 성질로 도저히 견디지 못하실 것 같은 여러 조건을 태연히 견뎌내실 뿐 아니라 나름 즐기기까지 하시는 걸 보며, 사람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중에 관념에 휩쓸리는 것이 많다는 생각을 했다. 그 후 내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에서도 "실존" 앞에서 꺼져버릴 거품을 미리 뺄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런저런 욕심이 줄게 된 것은 그 덕분일 것이다.

 

'퇴각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8. 14 / "Black Anger"  (0) 2017.08.14
17. 8. 10 / 홍석현과의 '괄목상대'  (0) 2017.08.10
17. 8. 3 / "차카게 살자"  (0) 2017.08.03
17. 7. 31 / 신입교인의 배짱  (2) 2017.07.31
17. 7. 25 / 퇴각로를 내다보며  (0) 2017.07.25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