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둔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원들 못지않게 패배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클린턴의 섹스 스캔들 파헤치기에 열 올리던 언론인들이다.

 

워싱턴포스트지의 칼럼니스트 오버홀서는 언론이 심판자의 역할을 자임하던 종래의 오만을 반성할 기회라고 말한다. 언론은 사실을 만들어내는 기관이 아니라 전달하는 기관일 뿐이며, 그것도 자기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실이 아니라 독자들에게 중요한 사실을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론조사는 선거 몇 달 전부터 클린턴의 스캔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무관심을 보여주고 있었다고 오버홀서는 지적한다. 대통령을 평가하려면 대통령 업무의 수행실적을 보면 됐지, 사생활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유권자들의 뜻을 언론이 묵살해 왔다는 것이다. 워터게이트의 환상에서 언론인들이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자아비판이다.

 

언론의 영향력이 미국 못지않게 막중해진 우리 사회에서도 깊이 음미해볼 만한 지적이다. 특히 조선일보와 최장집 교수 사이의 사상검증 논쟁에서 요긴한 문제점들이 겹쳐짐을 느낀다.

 

공인자격의 검증은 언론의 임무라고 신문 측은 주장한다. 그런데 이번 검증대상은 공인으로서의 활동이 아니라 학술문헌이다. 학술활동 내용을 검증하려면 학술적 방법에 따라야만 한다. 갈릴레오의 종교재판도 당대 일류 학자들의 견해를 수집했다. 거두절미한 표현 몇 가지가 ‘사회통념’에 벗어난다고 전문가도 아닌 사람들이 문제삼은 것은 ‘심판자’ 역할의 자부심이 지나쳤던 것이 아닌가 반성이 필요한 일이다.

 

독자의 관심에 충실히 부응하려는 자세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온 국민의 관심은 경제난 극복과 남북관계의 전개 등 미래의 문제에 쏠려 있다. 중요한 과제에 사회의 관심이 제대로 모이지 못하고 있는 때라면 언론이 이를 어느 정도 일깨워줄 수도 있겠지만, 철 지난 파당적 정쟁이나 냉전적 대립사고의 부활에 언론의 사명을 걸 수는 없다.

 

분쟁을 토론의 차원으로 승화시키는 것이 언론 최고의 사명임을 새삼 깨달았다고 오버홀서는 술회한다. 이 또한 오늘의 한국 언론이 깊이 새겨들을 말이다. 칼에도 활인(活人)의 칼과 살인(殺人)의 칼이 있듯 펜에도 살리는 펜과 죽이는 펜이 있다. 권위주의시대에는 언론이 추상같은 자세로 절대권력 앞에 맞서주기를 국민이 원했다. 그러나 이제는 심판자보다 봉사자로서의 언론을 독자들이 바라는 시대가 되고 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