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2. 9. 13:32
 

새로운 재간을 개발하셨다. 웃으면서 눈물을 흘리시는 것이다.

울상으로 찡그리고 눈물을 흘리실 때 줄줄 흐르다시피 하는 것에 비해, 흐뭇한 웃음 속에 지긋이 감은 눈가에 비치는 눈물은 하품 끝에 번져나오는 눈물과 비슷한 것이 아닌가 미심쩍었다. 그런데 어제저녁에는 하품의 눈물과는 다른 웃음의 눈물이란 확인을 할 수 있었다. 그러고 보면 찡그리고 우시는 본격적 울음은 며칠 전부터 아주 드물게 되었다.

그저께 갔을 때는 잠깐만 뵙고 나왔다. 요새 감기 걸린 환자가 여러 분이라, 보호자 방문을 최소화하도록 권하고 있다는 간호사의 안내를 듣고, 협조하는 자세를 한 차례 과시하기 위해 재촉도 받기 전에 금방 돌아섰다. 상태가 괜찮으신 것을 확인하고는, 한 시간이라도 자식이 곁에 있어 드리는 일 없이 지나가면 반응이 어떠실까 한 번 살피고 싶은 마음도 들었던 것이다. 대신 어제는 마스크를 가져가 쓰고 보통때처럼 모시고 앉아 있었다.

간병사 여사님들이 매우 고무되어 있었다. 말씀이 수다(?) 수준을 향해 늘어나고 계시다는 것이다. 사진첩을 보여드리며 "이 분이 누구예요?" 하면 "다 알면서 그건 왜 물어?", "왜 그렇게 다 알려고 하는 거야?" 하는 반응이 수시로 튀어나오신다고 한다. 불경 읽어드리는 데 열심인 주 여사는 소리내어 읽으신 분량이 기록을 깨뜨리셨다고 흥분한다.

한 달 전 합류한 신참인 주 여사의 역할이 늘어나고 있다. 김 여사와 박 여사는 54세 동갑인데, 아마 40대 후반, 연길시 공원가 가두판사처에서 퇴직했다는 주 여사는 공무원 출신답게 처신이 능란한(그곳 말로는 '해박하다'고 한다.) 인상일 뿐 아니라 봉사정신도 투철한 것 같다. '언니'들이 가르쳐주고 시키는 것을 넘어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열심이고, 언니들도 그런 주 여사를 미덥고 곱게 보는 눈치다.

한 열흘 전부터 주 여사의 교시에 따라 어머니 등 밑으로 손을 넣어 어깨와 등 주물러드리는 일을 시작했다. 열세 분 환자 중에 그렇게 해드릴 필요가 있는 분이 어머니 포함해 네 분이라고 주 여사가 말한다. 주 여사의 합류로 인해 새로 본격화된 서비스다. 김 여사와 박 여사도 그런 일을 더러 하기는 했지만, 그리 적극적이지는 않았던 것 같다.

매일 자기가 최소한 두 차례는 꼭 해드리고 있는데, 보호자가 더 해드리면 더 좋을 거라는 주 여사의 말을 듣고 시작했는데, 이것이 참 효과 만점의 접촉방법이다. 내 얼굴을 보면 자동적으로 떠오르시는 것 같은 어머니의 긴장감이 쉽게 풀어지고 편안한 웃음이 깔린다. 눈을 지긋이 감으실 때가 많고, 그런 상황에서 '웃음 속의 눈물'도 확인했다. 내 얼굴을 하염없이 쳐다보실 때도 있는데, 그럴 때의 눈길은 아들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눈길이 아니다. 나한테 씌워져 있는 아버지 귀신을 바라보시는 것 같다.

두 분의 사이가 실제로 어떤 것이었을까? 아버지의 일기와 어머니의 회고가 모두 '아름다운 사랑'을 보여주지만, 어떤 인간관계에도 없을 수 없는 굴곡의 기미가 여기저기 나타나기도 한다. 요즘 내 얼굴을 (아마도 아버지를 떠올리며) 바라보는 어머니의 표정에서 이유 없는 불편함을 느낄 때, 표현과 실제 사이의 거리가 어떤 것인지 궁금한 생각이 북바친다.

어렸을 때 학교에 제출할 호적초본(등본이었을지도?)을 보면 어머니 이름이 모르는 이름이었다. 처음에는 어머니가 이런 이름도 쓰신 건가? 했다가(같은 이씨였으니까) 차츰 사정을 알게 되었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두 번째 아내였으며, 아버지 돌아가실 때까지 입적을 못하고 계셨다는 사정을.

우리가 자라나는 동안 고종사촌 형님 몇 분이 마치 숙부들처럼 우리를 살펴주셨다. 아버지가 네 분 고모님 밑의 외아들이었으며, 몇 살 차이 안 나는 생질들을 자상하게 돌봐주셨기 때문에 그분 돌아가신 후 그 형님들이 비상한 사명감을 가지고 외숙모를 받들며 외사촌들을 아껴준 것이었다. 어머니의 호적상 위치에 대해 우리가 의문을 가지게 되자 그 형님들은 어머니가 아버지의 진짜 아내였다는 사실을 극구 증언해 주었을 뿐 아니라, 있는 아내를 버리고 새 아내를 취한 일을(당시에는 아버지의 본처가 살아계셨다.) 변명하기 위해 본처 그분께 건강상의 문제가 있었다는 설명도 해주었다.

어른이 된 후 이복형제들과도 만나고 아버지 본처의 친정 친척들과도 다소의 접촉을 가지게 되면서 고종 형님들의 설명이 사실이라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혼이라는 사정이 두 분께 어쩔 수 없이 적지 않은 압박감을 드린 사실은 여러 각도에서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아버지의 실체적 모습을 어느 정도 확실히 파악한 지금 내가 보기에 아버지가 어머니를 택한 것은 본처보다 더 예쁘고 똑똑한 사람을 얻어 당신들끼리 오글복짝 행복하게 살려는 뜻이 아니었다. 사회를 위해 더 큰 공헌을 하기 위한 길로서 택한 정략(?)결혼이었고, 어머니에게도 평범한 지어미로서의 행복보다 어머니의 재주와 능력을 건실한 방향으로 펼쳐나갈 길을 열어준다는 명분으로 받아들이실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명확히 기억되지는 않지만 그런 취지의 말씀을 어머니께 여러 번 들었다.)

어머니도 그런 취지를 이성적으로는 승인하셨겠지만, 그에 대한 인식이 아버지처럼 투철하실 수는 없었을 것 같다. 행복보다 도덕을 앞세워야 할 절박한 사정은 아버지 때문이지, 어머니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지 않은가? 명분을 무시해서는 안 되지만 명분에 매몰되어서도 안 되겠다는 생각이 이런저런 고비에 어머니께는 드셨을 것 같다. 예컨대 1946년 아버지가 당시 한국 최고의 직장으로 꼽히던 금융조합을 때려치우고 학문을 위해 서울대 조교로 들어가실 때는(이듬해에 조교수로 취임하셨는데, 금융조합의 정치적 분위기가 악화되는 바람에 갑자기 떠날 생각을 하시고, 연구실에 앉아 계실 수 있는 조건만을 위해 학교로 급히 옮기셨던 것이다.) 좋은 낯으로 참아주실 수 있었을지 몰라도, 1951년 생존의 조건이 막막한 피난살이 중에 전사편찬위원회 일 그만두실 때는 기가 좀 막히셨을 것이다.

그렇다. 아버지의 기억에 착잡한 면이 어머니께는 있으실 것이다. 7년의 결혼생활 동안 아버지의 도덕적 엄격성이 그런 면으로 보통 넘는 어머니께도 "정말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을 많이 일으켜드렸을 것이다. 초년에 겪을 만큼 겪어내면 살아가면서 차츰 풀려갈 것을 은근히 바라고 계셨을 텐데, 그나마 초년 고생만 잔뜩 시켜놓고 훌쩍 떠나버리셨으니...

내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무표정을 가장하려 드시는 것처럼까지 보이는 어머니의 착잡한 눈길이 어깨를 주물러드리는 동안 스르르 감기고 두어 방울 눈물이 번져 나오는 것을 보며 콧시울이 시큰하다. 그 눈길 속에 아버지 모습을 겹쳐 떠올리는 것이 내 망상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 마음속에서라도 두 분의 기억이 편안하게 어울릴 수 있는 길이라면 망상 속을 한없이 헤매고 싶다.

 

'어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1. 3  (0) 2009.12.09
08. 12. 31  (0) 2009.12.09
08. 12. 19  (0) 2009.12.07
08. 12. 15  (0) 2009.12.07
08. 12. 12  (0) 2009.12.07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