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는 7세기 초 수나라 때 만들어진 것이다. 운하의 이로움은 중국에서 일찍부터 인식되어 전국시대부터 축조가 시작되었는데, 북중국과 남중국을 연결하는 ‘대(大)’운하는 남북조의 대립을 끝낸 수나라가 천하제국의 통일성을 담보하기 위해 건설한 것이다.

 

수나라 때 건설된 대운하의 약도

 

 

당나라 말기에서 5대10국까지 혼란기에 남중국과 북중국 사이의 거리가 다시 멀어졌다. 군벌(절도사)이 할거한 북중국과 달리 남중국은 쇠퇴해 가는 당나라의 마지막 밑천으로 남아 있다가 과도한 착취에 항거하는 일련의 민란을 통해 무너져갔다. 5대10국 중 ‘5대’는 북중국에서 꼬리를 물고 천자국(天子國)을 자칭한 단명한 왕조들이었고 ‘10국’은 대부분(北漢을 제외하고) 남중국에 할거한 지방 세력이었다.

 

남북을 다시 통합한 송나라에게도 운하체제의 정비가 중요한 과제였다. 송나라의 수로 정비 사업에서 눈에 띄는 것 하나가 2중 갑문(閘門)의 발명이었다. 조지프 니덤은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중국의 과학과 문명> 제4부 3권 351쪽에서 이 발명이 984년 송나라 관리 교유악(喬維岳)에 의해 이뤄진 사실을 밝혔다.

 

황하와 양자강을 연결하는 대운하만을 놓고 보더라도 수면의 표고차가 약 40미터에 달한다. 다른 수로에는 표고차가 더 큰 곳도 있다. 그 때문에 수로 곳곳에 물살이 빠른 곳이 있는데, 종래에는 그런 곳을 지날 때 인부들이 기슭에서 밧줄로 배를 끌고 지나갔다. 많은 물이 계속 흘러내리지 않으면 배가 바닥에 부딪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갈수기에는 막힐 때가 많았고 평시에도 통과가 힘들고 오래 걸렸다. 2중 갑문의 발명은 이로 인한 ‘병목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수운 체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

 

2중 갑문의 구조

 

 

대운하는 만리장성과 함께 중국문명이 빚어낸 초대형 구조물로 명성을 떨친다. 그런데 대운하는 하나의 독립된 구조물이 아니라 중국의 방대한 수로 체계를 대표하는 한 부분이다. 철도가 등장하기 전까지 중국의 수로 체계는 세계 최대-최고의 내륙 교통망이었다. 7세기 이후 남중국 경제와 문화의 눈부신 발전은 수로 체계 위에서 이뤄진 것이었다.

 

옛 모습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대운하의 구간

 

 

 

관광자원이 된 대운하의 모습

 

기술 발전에 따라 농업생산력이 늘어나더라도 잉여생산물을 처분할 시장이 원활하지 않으면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수나라 이후의 남중국에서는 수송비가 극히 저렴했기 때문에 시장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었고, 농민은 자급자족의 틀에서 풀려나 생산성 제고에 전념할 수 있었다. 상업 활동은 소수 상인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대다수 서민의 일상이 되었다.

 

금속화폐 사용에서 금화, 은화 등 귀금속이 주종이던 다른 지역과 달리 중국에서는 동전이 압도적이었다는 사실도 중세 중국경제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고액권인 금-은화는 전문 상인들의 대규모-장거리-귀중품 교역에 주로 사용되고 소액권인 동전은 서민의 일상적 경제활동을 뒷받침해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송나라의 탁월한 문명수준에 관해서는 문학-예술-상업-기술-제조업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나와 있어서 어떤 것을 인용할지 판단이 어려울 정도다. 꽤 오래 전에 나온(1959) 자크 제르네의 인상적인 논평 한 대목을 소개한다.

 

13세기의 중국은 놀라운 정도의 근대성을 보여주었다. 전폭적인 화폐경제, 종이 화폐, 결제 제도, 고도로 발달한 차와 소금 관련사업, 대외무역의 큰 비중, 그리고 지역별 생산의 전문화 등이 눈에 띈다. 상업의 큰 영역들을 무소부재의 국가가 장악하고 국가전매와 간접세로 세수의 대부분을 충당하고 있었다. 사회생활과 예술, 오락, 제도, 기술 등 여러 방면에서 중국은 당시의 어느 다른 나라보다도 확연히 발달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국 밖의 어느 곳에도 야만인밖에 없을 것이라고 중국인들이 생각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H. M. Wright, tr., <Daily Life in China on the Eve of the Mongol Invasion> 18-19쪽)

 

제르네가 보는 송나라의 ‘근대성’이란 무(武)에 대한 문(文)의 선택에서 나온 것이다. 제국의 양적 팽창보다 질적 발전을 택한 것이다. 돈으로 평화를 사는 노선이 지속되는 동안 경제와 문화가 한껏 발전할 수 있었다. 이 평화노선은 1276년 몽골의 무력에 짓밟혀버린 것처럼 보이지만, 잘 살펴보면 오히려 몽골제국의 발전 방향에 영향을 끼친 측면도 알아볼 수 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