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y Rosen, What Are Journalists For? Yale U P, 1999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며 언론의 역할과 사회에 대한 영향력은 꾸준히 커져 왔다. 우리 사회에서도 언론문건 파동을 통해 언론의 영향력이 정치권에서 얼마나 중시되고 있는지 드러나고 있으며 언론인 자신들도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새롭게 깨닫고 있다.

언론의 위상이 가장 굳건한 나라가 미국이다. 미국 언론은 19세기말부터 국가정책을 선도하는 하나의 기관으로 자리 잡아 3권 분립에 추가된 4의 권부로 인식되어 왔다.

미국의 정치제도에서 법률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부분을 여론의 대번자로서 언론이 담당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어 왔다. 평상시에는 정치 정보의 주된 전달 통로 노릇을 맡고, 때로는 워터게이트사건의 경우처럼 새로운 정치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언론이 독자적 권위를 쌓아올 수 있었던 것은 객관적 비판자의 입장을 지켜온 덕분이다. 상업주의라는 비판을 늘 받으면서도 미국 언론의 주류는 저널리즘의 직업의식을 굳게 지켜왔다. 언론사 경영자들도 직선적 이윤추구보다 사회정의를 대변하고 공정한 심판관 노릇을 하는 저널리즘의 권위를 지키고 키워나가는 것이 유리한 경영정책임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뉴욕대 언론학 교수 제이 로전은 <언론이 할 일>에서 언론이 이 객관적 비판자의 역할을 얼마간 포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정치의 공동화(空洞化) 현상 때문이다. 투표율 하락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는 미국인의 시민의식 퇴화 현상이 민주질서의 위기를 빚어내고 있으며 이 위기는 언론의 역할에 대해서도 근본적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언론은 초연한 객관성을 절대적으로 지키려 들기보다 시민의식의 부활과 정치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로전은 기록적으로 낮은 투표율을 보인 1988년 선거 후 공공(public) 저널리즘을 제창했다. ‘시민(civic) 저널리즘이라고도 불리는 이 개념은 언론이 사회현상을 파악해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건전한 사회현상을 유도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애크런 비컨 저널>이라는 한 지방신문이 지역사회의 인종문제 의식을 조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에 대한 대책을 공격적으로 추구함으로써 1994년 공익 부문 퓰리처상을 받은 것을 대표적 사례로 꼽는다.

로전은 시민의 잠재역량을 높이 평가한 존 듀이와 위르겐 하버마스의 관점을 이 주장의 근거로 내세운다. 언론인은 전문가로서보다 일반시민의 입장에서 자신이 할 일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의 고립이 심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신문의 열독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것은 전반적인 시민의식 퇴화현상의 반영이다. 언론이 초연한 객관성에 안주하고 있어서는 언론의 존재근거인 민주적 사회질서가 메말라버리고 언론은 대중의 관심을 잃게 될 것이므로 시민의식 회복을 위해 언론이 적극적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로전은 주장한다.

언론계 주류는 로전의 근본적 위기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워싱턴포스트>지 편집인 레너드 다우니는 선거의 기권도 민주적 절차 속에 포함되는 주권행사 방법의 하나이므로 언론이 투표 참여를 강요하는 것은 그 본분을 벗어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뉴욕타임스>지 주필 하월 레인스는 언론인이 공공정책의 전도사가 될 경우 언론의 본질이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세기에 들어와 시대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인 일부 언론은 황색 저널리즘의 곁가지로 갈라졌다. 정통 저널리즘에도 선정적 요소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권위중심의 기본자세를 지켜왔다. ‘시민 저널리즘이 또 하나의 곁가지로 자라나게 될지, 그 참여 자세가 정통 저널리즘에 어떤 영향을 얼마만큼 끼치게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우리 언론이 근년 4의 권부로 부각돼 온 것은 민주화의 성과로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이 권부의 의미를 민주화 이전 단계의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이 언론계 안팎에 아직도 많이 있다. 진정한 민주적 권위를 쌓아나가는 것이 우리 언론의 당면과제다.

그런데 다른 한편에서는 로전이 미국사회에서 지적하는 것과 같은 정치염증과 시민사회의 파편화가 우리 사회에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객관성의 권위를 충분히 확보하지도 못한 채 참여의 책임까지 져야 하는 것이 우리 언론 위기의 본질일지 모른다. 1999. 11.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