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hael Sherry, In the Shadow of War - the United States since the 1930s

 

"전쟁 통해 부상한 미 현대사 조명"

"2차대전 거치면서 군사대국으로 등장 - 냉전 종식 후엔 서방 결속의 구심점 역할"

 

 

미국은 전쟁을 통해 탄생한 나라다. '프런티어정신'이라는 말 자체에 투쟁의 냄새가 깊숙이 배어 있다.

 

그러나 남북전쟁 무렵까지 미국 국토 내에 구체적인 모습의 프런티어는 사라진다. 1880년대까지 계속된 인디언 섬멸전을 제외하고는 미국 본토에 다시 전쟁이 찾아오지 않는다.

 

전쟁이 미국을 찾아오지 않았다면 미국인들이 전쟁을 찾아 나섰다고 할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 동안 미국의 첫 번째 특징은 '군사대국'이었다. 한국전에서 걸프전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전쟁다운 전쟁 중 미국이 큰 역할을 맡지 않은 것은 별로 없었고, '슈퍼파워'로서 미국의 면모는 그 경제력보다 단연 군사력으로 대표된다.

 

1백여 년 동안 국토가 전쟁에 짓밟힌 일이 없는 천혜의 조건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어느 나라보다 열심히 전쟁을 벌이거나 참여해 왔다. 공습과 포격의 고통을 겪지 않으면서도 미국인들은 전쟁을 자기네 일로 의식하는 데 익숙해져 있다. 마이클 셰리의 In the Shadow of War (예일대 출판부)는 이 특이한 현상을 통해 미국현대사의 전체 흐름을 살핀 책이다.

 

셰리의 서술은 1930년대의 뉴딜정책에서 출발한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3년 취임하자마자 뉴딜을 '불황과의 전쟁'으로 선포했다. 제1차 세계대전 참전시 고조됐던 국민의식을 되살려내기 위한 비유였다. 그러나 이 '전쟁'은 단순한 비유에 그치지 않고 대통령의 집행력을 강화하고 국가의 동원능력을 확대하는 등 전시에 준한 중앙집권체제를 발전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질 무렵 미국은 뉴딜정책 덕분으로 전쟁을 수행할 준비가 잘 되어 있었다. 생산력과 경제체제가 꽤 안정돼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긴장된 상황을 견뎌내고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정치분위기와 국민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미국은 단역배우로 출연했던 제1차 세계대전 때와 달리 연합군의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맡는 주역이 됐다.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슈퍼파워로 화려하게 등장한 미국인들의 의식 속에는 몇 가지 강렬한 요소들이 얽혀 있었다. 그중 하나로 세계 최강의 경제력과 군사력, 그리고 최첨단 과학과 기술을 장악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나치의 학살과 일본의 가미카제 등 인간의 잔인성에서 받은 충격과 공포가 있었다. 이 잔인성을 스스로 본받은 원폭 투하의 경험이 전쟁에 대한 미국인의 공포심을 더 키워주었다. 수십년간 전화로부터 안전했던 지정학적 위치가 현대전에서는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음을 스스로 증명해 보인 것이다.

 

미국의 군국화에 앞장선 것이 직업군인들보다 민간정치인들이었다는 특이한 사실을 셰리는 지적한다. 군국화의 동기가 전쟁에 대한 공포심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의 군국화 전략은 지상군의 교전능력보다 공군력과 첨단병기를 중심으로 속전속결에 목표를 두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1945년에서 1950년까지 미국의 군국화 방침은 확정되지 않았었다. 가상의 적인 공산주의를 '적색 파시스트'로 규정하는 움직임이 넓게 일어났지만 전쟁을 막 겪은 후의 염전 분위기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었다. 여기에 돌파구를 제공한 것이 한국전쟁이었고 이로써 공산주의가 가상의 적이 아닌 현실의 적으로 규정됨에 따라 일어난 매카시 선풍 속에 냉전체제가 굳어졌다.

 

셰리는 맹목적 군국화를 견제한 대통령으로 아이젠하워를 높이 평가한다. '군산복합체' 개념을 처음 제기한 것도 아이젠하워였고, 베트남에 원자탄을 쓰자는 막료들에게 "자네들 미쳤나? 그 끔찍한 물건을!" 하고 쏘아붙였다는 일화도 소개했다. 반대로 '뉴프런티어'를 제창한 케네디는 군국적 사고방식을 퍼뜨린 것으로 평가한다. "국가가 당신을 위해 무엇을 해줄 것인가보다 당신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먼저 생각하라"는 케네디의 명언을 떠올리면 수긍이 가는 의견이다.

 

냉전이 미국의 군국화를 불러온 것이 아니라 그 반대라고 셰리는 본다. 따라서 냉전의 종식이 미국의 군비축소로 이어지지 않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오히려 서방 결속의 구심점으로서 미국의 역할이 퇴화하는 데 대한 반작용으로 미국은 더더욱 군사력을 과시할 필요를 느꼈고, 이것이 걸프전의 형태를 빚어내는 데 작용했다고 셰리는 설명한다. 전쟁 후 부시가 "우리는 드디어 베트남 콤플렉스를 이겨냈다"고 자랑스럽게 말한 것을 인용한다.

 

저자의 기본 시각은 군국화를 미국현대사의 중심축으로 보는 것이다. 미국정부의 공식적 표명으로 석연하게 납득이 가지 않는 사건들 중에 이 시각으로 명쾌하게 밝혀지는 것들이 많이 있다. 상당히 엄격한 학술적 기준을 지키기 대문에 그 기본시각이 현대사를 관통하는 힘은 강하게 느껴지지 않지만 단편적 서술에 대한 신뢰도는 그만큼 높게 느겨진다. 근래 우리 사회에 부각돼 오고 있는 반미 시각의 정리에도 좋은 참고가 될 책이다. (<중앙일보> 1996년 4월 21일 또는 5월 12일)

 

 

 

 

연재를 끝내고 보니 한가한 시간에 이따금 마주치게 됩니다. 전에 쓴 글을 그런 시간에 더러 훑어보게 되네요. 근년에 저를 찾아주신 분들께 보여드리고 싶은 글도 가끔 옮겨놓겠습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