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전란에 시달리던 전국시대 중국인들은 평화를 가져올 ‘천하 통일’을 염원했고, 진 시황의 통일은 이 염원에 힘입은 것이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진 시황의 통일은 통일천하를 안정된 상태로 이어갈 ‘천하제국’ 체제의 구축에 이르지 못했다. 한나라가 진나라를 대신하고도 50여 년이 지나서야 오-초 7국의 난을 계기로 제국의 내부가 정비되었다. 그리고 다시 30여 년이 지나 무제 때 동서남북 외이(外夷)들과의 관계를 포괄하는 천하제국의 틀을 세울 수 있었다.


한 무제가 세운 천하제국의 틀은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이었을까? 생각을 모으고 있는 참에 막 나온 흥미로운 논문 하나가 눈에 띈다. 양저위(杨泽宇)와 청하이옌(成海燕)의 “대일통(大一统)에서 정통(正統)으로(从“大一统”到“正统”:《史记》《汉书》民族传比较视野中“华夷观”的历史衍变与嬗代整合)“(文山学院学报 32卷 5期). 2019년 10월에 발표된 따끈따끈한 논문이다. 


논문의 내용인즉 <사기>와 <한서>의 외이 열전을 비교할 때, <사기>는 천하를 하나로 보는 ‘대일통’의 관점을 보여주는 데 반해 <한서>는 화이(華夷)의 구분을 엄격하게 보는 ‘정통’의 관점을 보여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150년의 시차를 두고 사마천(司馬遷)과 반고(班固) 사이에 적지 않은 화이관의 차이가 보인다는 것이다.


‘대일통’과 ‘정통’. 오랑캐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두고두고 떠올릴 주제다. 중화제국이 팽창 추세를 보인 당나라, 원나라, 청나라 때는 ‘대일통’이 중시되고 남북조시대의 남조나 송나라, 명나라 때처럼 위축 추세를 보일 때는 ‘정통’이 중시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청조(淸朝)에 저항하던 20세기 초의 중국 혁명가들은 ‘정통’을 내세워 만주족을 배척했지만 공화국이 세워진 신해혁명 이후에는 중국의 분열을 막기 위해 ‘대일통’을 앞세우는 분위기로 돌아섰다. 


인류학자 페이샤오퉁(費孝通, 1910-2005)이 1988년 제기한 ‘다원일체론(多元一體論)’을 ‘중화민족’ 즉 한족의 정체성에 대한 표준 담론으로 볼 수 있다. 상고시대에 ‘화하(華夏)’가 형성된 이래 주변의 다른 민족을 그 문화적-정치적 구조 안으로 꾸준히 흡수하며 확장해 온 것이 지금의 한족이라는 것이다. 페이샤오퉁은 앞서 소개한 리지(李濟, 1896-1979)와 함께 중국 인류학계의 선구자인데, 서양 학문의 단순한 수입에 그치지 않고 동태적(dynamic) 고찰의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화민족에 대해서도 어떤 변화의 결과가 아니라 변화의 과정으로 정의하는 관점이 그런 면모를 보여준다.


사카모토 히로코의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양일모-조경란 옮김, 지식의 풍경 펴냄)에 소개된 페이샤오퉁의 일화 중 재미있는 대목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즈음하여 중국어의 “자먼([입 구 변에 스스로 자]們)”이란 말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라는 뜻이지만 “워먼(我們)”과는 다르다. “워먼”이 청자(聽者)를 배제한 화자(話者)의 범위만을 가리키는 것과 달리 “자먼”은 화자와 청자를 아우르는 것이다. 중국인은 대일통의 시대에 “자먼”을 생각하고 정통의 시대에 “워먼”을 생각한 것 아닐지.

 

페이샤오퉁
중년기의 리지. 그는 1949년 이후 타이완에서 활동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