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정직하게 살려고 애를 많이 써온 편이다. 그런데 그것이 평생 힘든 일이었다. 억지로 애를 써도 스스로 석연치 않은 상황을 언제고 또 마주치게 되곤 했다. 정직하게 살려는 노력이 성인군자 되자는 게 아니라 마음 편하게 살자는 건데, 아무래도 수지가 안 맞는 장사로 여겨졌다.

 

몇 해 전 <공자평전>을 번역하다가 전에 무심히 봐 넘겼던 <논어>의 한 대목을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공자가 초나라의 葉縣에 갔을 때 葉公이 그곳에서 자랑스럽게 여기는 한 정직한 인물 이야기를 했다는 대목이다. 直弓(躬으로 된 자료도 있음)이란 사람이 자기 아버지가 양 훔친 일을 증언해 벌을 받게 함으로써 그 정직함이 "大義滅親"의 경지를 보였다는 것이다. 그 이야기를 들은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 정직함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어버이는 자식의 허물을 덮어주고 자식은 어버이의 잘못을 감춰주는 것을 정직으로 여깁니다."

 

지식을 얻기 위해 <논어>를 읽을 때 이런 대목에 마주치면 "에이, 덮어주고 감춰주는 게 무슨 정직이야? 공자님 역시 후졌어." 하며 지나치곤 했다. 그런데 나 혼자 보고 지나치는 게 아니라 독자들에게 설명해주는 입장에서는 더 깊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한 차례 "논어 다시 읽기"를 하게 되었는데, 생각이 많이 머문 대목의 하나가 직궁 이야기였다.

 

내 종래의 생각이 환원론에 치우쳤던 사실을 반성하게 되었다. 정직성을 삶의 과정 속에서가 아니라 하나의 행위 속에서만 찾았던 것이다.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삶의 가치는 단선적으로 표현될 수 없다. 그래서 정직에 대한 공자의 설명은 하나의 측면도와 같은 것으로, "대의멸친"의 극단과 대비되는 측면을 포착한 것이다. 그런데 나는 정직과 허위가 칼로 자르듯 분명히 나타나기만 기대하고 있으니 그 뜻이 눈에 들어오지 않은 것이다.

 

생각이 이에 이르고 보니, 나는 살아 오면서 정직한 행위를 하려고 애를 썼지, 정직한 사람이 되는 길은 생각도 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니 힘들 수밖에! 걸음을 똑바로 걷는 것과 마찬가지다. 애기 때 걸음마를 배우면서부터 긴 과정을 통해 걸음을 익히고 나면 아무 생각 없이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걷는 동작에 관여하는 수백 개 근육을 하나하나 의식적으로 조율해 가며 걸으려면 얼마나 힘든 일이겠는가.

 

일전에 이야기한 조광 선생을 보며 이 점이 다시 생각난다. 정직한 행위를 하기 위해 따로 애쓸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정직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 하는 말씀이 사실과 (또는 그분 생각과) 조금도 어긋나지 않으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차이가 있더라도, 그 차이에는 분명히 받아들일 만한 의미가 있으리라는 믿음이 가는 것이다.

 

물론 이분처럼 정직한 사람을 살아오면서 본 일이 전혀 없는 게 아니다. 이제 돌아보면 정직한 분들을 참 많이 만났고, 그 덕분에 이만큼이라도 살아올 수 있었던 셈이다. 다만 30년래 알고 지낸 이분을 금년 들어 비로소 가까이 접하고 그 사람됨을 알아보게 되면서, 마침 내 의식에 크게 떠오르고 있는 문제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 신뢰할 만한 상대가 있을 뿐 아니라 신뢰를 줄 수 있는 내 마음의 자세가 갖춰져야 신뢰가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나로서는 새로운 차원의 신뢰를 그분에게 갖게 되었고, 그분을 대부님으로 모실 수 있었기 때문에 세례 받을 자신이 없는데도 서둘러 세례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지난 2월 새남터성당으로 찾아가 만난 이래 보름 전 연변으로 떠날 때까지 매주 한 차례씩은 조 선생을 보며 지냈다. 애초의 볼일은 교회사 연구에 편의를 제공받는 것이라서 그리 자주 볼 필요가 없었는데, 입교와 관련된 생각이 오락가락하는 데 따라 자주 찾아보게 되었다. 4월 말에 세례를 받고는 한 고비를 넘긴 셈인데, 잠시 후 새 볼일이 생겼다. 그분이 국편 위원장으로 내정되었기 때문이다.

 

평상시의 국편이라면 하시거나 말거나 내가 신경 쓸 일이 없겠는데, 그 동안 그 의자가 너무 망가져 있어서 걱정해 드리지 않을 수 없다. 사회의 필요에 따라 추스를 필요가 있는데, 사회의 필요에 대해 내가 역사학도 치고는 생각이 많은 편 아닌가. 그래서 새 자리에서 바쁘신 중에도 자주 만나 의견을 나누고 도움이 되어드릴 만한 몇 사람을 추천하고 소개해 드렸다. 그분에 대한 고마움에 약간의 응답이라도 된 것 같아 기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분이 어려운 일을 놓고도 자연스럽게 풀어가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은 공부가 되었다.

 

내가 초년부터 스승다운 스승을 모시지 못했던 것도 환원론적 사고에 치우친 편협한 자세 때문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제도적 사제관계로 만난 이들 중에 나보다도 더 편협한 이상한 이들도 있었지만, 뒤늦게 가르침을 떠올리며 되새기는 좋은 분들도 있었다. 내 마음에 모시는 자세가 되어 있지 못해서 놓친 가르침이 많았다.

 

생각해 보면, 스승 모시는 일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관계가 그렇다. 너그러운 행위를 하려는 노력은 해도 너그러운 사람이 될 일은 생각지 못했다. "차카게 살자"는 말이 왜 웃음을 자아내는가? 착한 것이 좋은 것이라는 것은 알아도 어떤 게 착한 것인지는 헷갈리는 마음을 맞춤법의 착오가 말해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이제 그런 착오를 비웃는 마음을 버리고 어떻게든 "차카게" 살도록 애쓰려 한다.

 

'퇴각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8. 14 / "Black Anger"  (0) 2017.08.14
17. 8. 10 / 홍석현과의 '괄목상대'  (0) 2017.08.10
17. 7. 31 / 신입교인의 배짱  (2) 2017.07.31
17. 7. 28 / 그 의사에 그 환자  (0) 2017.07.28
17. 7. 25 / 퇴각로를 내다보며  (0) 2017.07.25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