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는 역사의 대목대목에서 역할이 컸던 존재이지만 현대인에게는 그 모습을 정확히 떠올리기 어려운 대상이다. 피라미드를 쌓던 노예에서 미국 목화밭에서 일하던 노예까지 온갖 노예의 모습 사이에는 여러 시대 여러 사회 지배집단의 모습 못지않게 큰 편차가 있었을 텐데... 제도로서 노예가 없는 현대사회에서는 노예가 추상적 존재가 된 것 같다. 노예의 역할을 크게 다룬 책은 중점을 두고 살펴 왔지만, 늘 장님 코끼리 만지는 기분이다. <엉클톰스캐빈>에서 굳어진 노예의 모습은 역사의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나타나는 노예의 실제 모습을 바라보는 데 방해만 된다.

 

오늘 도착한 패터슨의 책 서문과 2018년에 덧붙인 서문을 읽으면서 기대감이 올라간다. 역사사회학 관점에서 쓴 책인데, 그런 연구방식이 사회학계에서는 퇴조한 반면 다른 여러 분야에서 관심을 끈 데 보람을 느낀다는 2018 서문의 회고가 흥미롭다. 1980년대 이후 연구 동향의 전개에 관한 내 생각이 맞아떨어지는 현상 같아서다. 근현대 유럽인의 인식을 넘어서는 과거에 대한 시각이 떠오르는 '탈-근대'의 변화가 내가 기대하는 방향이다.

 

패터슨이 태어나 자라날 때까지도 자메이카에는 노예제도의 흔적이 짙게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런 사회의 특수계층 아닌 학생에게 학문의 길이 넓게 열린 첫 세대에 패터슨 자신도 속했다고 한다. 노예의 본질을 "social death"로 규정하는 패터슨의 관점에 기대가 가는 것은 그의 출신 환경이 노예 본인의 시각에 접근하기 좋은 것처럼 생각되기 때문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Orlando_Patterson

 

Orlando Patterson - Wikipedia

Historical and cultural sociologist Horace Orlando Patterson OM (born 5 June 1940) is a Jamaican historical and cultural sociologist known for his work regarding issues of race and slavery in the United States and Jamaica, as well as the sociology of devel

en.wikipedia.org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