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라드(Bolad, 孛羅, 1238?-1313)<원사(元史)>에 열전이 따로 없다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질 만큼 원나라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맡은 인물이다. 1283년 일-칸국으로 떠난 후 원나라 조정에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에 열전에서 빠진 것으로 보이는데, <원사(元史)>의 여러 부분에 나오는 기록을 모아보면 열전 하나 만들기에 충분한 분량이다.

 

그리고 그에 관한 많은 기록이 라시드 알-(Rashid al-Din)<집사(集史, Jāmiʿ al-Tawārīkh)>에도 들어있다. <집사>는 올슨(<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몽골시대 유라시아의 문화와 정복>, 2001)과 김호동(<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2010)이 모두 최초의 세계사로 지목한 책이다.

 

1248년 쿠빌라이가 자기 아들들과 함께 글을 배우게 한 귀족 자제 중에 볼라드가 있었다. 1260년 쿠빌라이 즉위 후 친위대 장교로 있다가 1264년 아리크 보케 심문에 참여한 뒤 관직으로 나아가 어사중승, 대사농, 어사대부를 지내고 1280년 중서성 승상의 직에 이르렀다. 그리고 40대 중반 나이에 사신으로 일-칸국에 갔다가 근 30년 여생을 그곳에서 지냈다.

 

올슨은 4개 부로 구성한 <몽골시대 유라시아의 문화와 정복> 중 한 부를 볼라드에 바쳤다. 원나라와 일-칸국 사이의 관계에서, 그리고 중국문명과 페르시아문명 사이의 교류에서 그 역할을 매우 중시한 것이다. 그 역할을 통해 이뤄진 가장 크게 보이는 성과는 <집사>. -칸국 고관인 라시드가 편찬한 이 책에서 몽골과 중국의 최근 사정까지 소상하고도 정확하게 수록된 것은 볼라드의 공헌 덕분일 수밖에 없다고 올슨은 주장한다. <집사> 편찬에 많은 자료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두 문명권과 초원지대를 포괄하는 거대한 세계관을 제시하는 데 볼라드의 경험과 식견이 뒷받침이 되었으리라는 것이다.

 

몽골과 중국에 관한 <집사> 내용 중 진짜 인사이더가 아니면 파악할 수 없는 미묘한 정보까지 많이 들어있음을 보면 올슨의 주장에 수긍하지 않을 수 없다. 볼라드의 아버지는 칭기즈칸 친위대의 간부이자 그 아내 보르테의 요리사였다고 한다. 요리사는 유목사회 지도자에게 최고의 신임을 받는 측근이었다. 볼라드가 소년기에 쿠빌라이의 자제들과 함께 공부한 일을 앞에 적었는데, 공부만 함께 했겠는가? 볼라드는 대칸 일족의 그림자와 같은 측근집단 속에서 자라났기 때문에 아리크 보케 심문을 비롯한 민감한 사안에 관여하게 되었고, 관직에 나아가서도 일반 관리들과 달리 대칸의 분신과 같은 역할을 겸한 것으로 보인다.

 

올슨은 또한 볼라드의 경력에 나타나는 통합-절충 능력을 중시한다. 그가 맡은 업무에서 예법(禮法)과 농정(農政)의 비중이 컸는데, 둘 다 중국문명의 핵심요소였다. 이런 업무에서 볼라드는 한인 관리들과 협력했다. 쿠빌라이에게 중용되어 2의 야율초재(耶律楚材)”로 일컬어지는 유병충(劉秉忠, 1216-1274)이 대표적 인물인데, 여러 번에 걸쳐 협력한 일이 있었던 것을 보면 협력의 효과가 좋았던 모양이다.

 

https://baike.baidu.com/pic/%E5%88%98%E7%A7%89%E5%BF%A0/712123/1/35e940df88244f5f48540346?fr=lemma&ct=single#aid=1&pic=35e940df88244f5f48540346 (유병충 초상. 승려로 지내다가 쿠빌라이에게 발탁되어 다년간 보좌하면서도 관직을 맡지 않고 있다가 쿠빌라이의 대칸 즉위 후 근 50세 나이에 태보(太保)의 관직을 받고 장가도 들었다고 한다.)

 

올슨이 소개하는 유병충 등과 볼라드의 협력 사례를 훑어보면서, 어쩌면 볼라드의 통합-절충 능력이 당시 몽골 지도자의 대표적 덕목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일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추진하는 역할은 한인 관리가 맡고, 볼라드는 진행을 순조롭게 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문명 수준이 낮은 유목민이 고급 문명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좋은 결과만 기대하며 전력을 기울이기보다, 진행이 늦더라도 안정된 자세를 지키면서 장기적인 성과를 바라보는 방식이 바람직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인 관리들이 각 방면 전문가였다면 볼라드는 관리자 역할을 맡은 셈인데, 관리자에게도 사업 내용에 대한 어느 수준의 이해는 필요한 것이다. 유병충은 중국사상의 전문지식 위에서 대원(大元)이란 국호를 제안한 것이고 쿠빌라이는 그 제안에 대한 의견을 볼라드 같은 사람들에게 듣고 최종 결정을 내렸다. 볼라드가 관리자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국을 다스릴 왕조의 청사진을 나름대로 뚜렷하게 그려놓고 있었을 것이다.

 

유목민 입장에서 정착문명을 지배할 정복왕조의 청사진을 그리는 일, 그것이 볼라드가 전문성을 가진 분야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쿠빌라이가 그를 일-칸국으로 보낸 뜻도 추측할 수 있다. 1260년 대칸에 즉위한 쿠빌라이가 1271년 대원 왕조를 선포하고 1283년까지는 남송 정복을 끝낸 뒤 안정된 체제를 구축해 놓고 있었던 반면 일-칸국에서는 1265년 훌레구(Hülegü)가 죽은 후 왕조가 안정을 취하지 못하고 있었다. 1283년은 아바카(Abaqa, 1265-82)의 뒤를 이은 동생 아흐마드(Ahmad, 1282-84)와 아들 아르군(Arghun, 1284-91) 사이에 갈등이 격화되고 있던 시점이었다. 쿠빌라이는 자신의 최측근이면서 왕조 설계의 전문가 볼라드를 사신 명목으로 보내면서 왕조를 안정시키는 길을 도와주게 한 것으로 추측된다.

 

https://en.wikipedia.org/wiki/Rashid_al-Din_Hamadani#/media/File:HulaguAndDokuzKathun.JPG (<집사>의 삽화로 들어있는 훌레구 칸과 도쿠즈 카툰 왕비의 초상. 케레이트 출신의 왕비는 네스토리아파 기독교인이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