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2. 28. 15:10

예전에는 번역을 수단으로 생각했지 목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창조적인 작업이 아닌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게다가 내 저술을 싫도록 하면서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다. 내 글이 역사학도의 글로는 남들 별로 않는 얘기를 많이 담는 편이니까 창조성에 관해서는 자부심을 가져도 될 만한데... 날이 갈수록 "창조성이 밥 먹여주나?" 생각이 드는 것이다.

 

밥벌이를 위해 번역을 밤낮으로 하며 내 글을 적게 쓸 때는 "아! 언젠가는 내 글 쓰며 살았으면!" 하는 갈망이 있었다. 그러다 2008년 <밖에서 본 한국사>가 기대 이상의 환영을 받으면서 신이 났다. 그로부터 8년 동안 책으로 찍혀 나온 분량만 원고지 3만 매가 넘으니... 글 적게 써서 아쉽다고 투정할 일은 없게 되었다.

 

내 글 쓰기 바쁘다 보니 번역은 아주 마음에 드는 일만 이따금씩 맡게 되었고, 어쩌다 할 때는 재미도 있고 느끼는 보람도 괜찮다. 그러다 1년 전 좀 큰 일거리로 <China Model>을 맡고, 그 작업에서 기대 이상의 재미와 만족을 얻었다.

 

재미와 만족을 늘리는 데 저자와의 소통이 큰 몫을 했다. 일 시작할 때 기술적인 문제로 메일을 보냈더니 응답이 퍽 은근했다. 역자가 어떤 사람인지 뒷조사를 좀 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편하게 이야기 나누다 보니 작업에 필요한 범위를 넘어 벼라별 얘기를 다 나누게 되고 급기야는 지난 여름 중국 가는 길에 만나보기까지 하게 되었다.

 

저자와의 소통이 든든하게 되니까 글 옮기는 데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었다. 문면에 얽매일 필요 없이 저자가 알더라도 동의하거나 좋아할 표현방법을 짐작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전에도 내 번역문에 불평하는 사람이 별로 없었지만, 이번 번역을 보고는 만족을 넘어 희열을 표하는 이들이 있다. 다른 이는 차치하고, 며칠 전 유시민 선생에게 받은 소감에서 "책 내용은 충분히 흥미롭고 / 외람된 말이지만, 번역도 훌륭합니다^^" 한 대목을 읽으면서 참 뿌듯했다. 번역을 평해 달라고 검토를 부탁한 것도 아닌데 굳이 그런 외람된 말을 하다니, 아마 내게 그만한 수준을 기대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번역"이라는 일의 의미를 더 크게 보는 생각이 작년 연말부터 일어났다. 신영복 선생 글을 읽다가, 이런 글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읽는 글과 달리, 속도를 생각지 말고 마음으로 잠겨드는 방식의 읽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는, 이 글을 외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면 그런 읽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이어졌다.

 

그리고 생각해 보니, 옛날 학인들이 경전에 주석(注釋) 작업을 한 것이 바로 그런 읽기 방식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글 쓴 사람에 대해 수동적인 위치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함께 텍스트를 전해받는 사람들에게 능동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 아닌가. 쓰는 사람은 능동, 읽는 사람은 수동의 위치에 묶이는 우리가 익숙한 자세는 어쩌면 대중을 관객의 위치로 몰아넣는 근대문명의 풍조에 따른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신 선생 글 외에도 외국 독자들에게 내놓을 만한 것이 있으면 번역을 고려해 보려고 평소 좋아하던 필자들의 글을 조금 들춰보았는데, 생각 밖으로 찾기 힘들다. 내가 읽기에는 좋은 글도 외국 독자들을 떠올리면 썩 내키지 않는 것이 많다. 국내용 글이 많은 것이다.

 

그래서 한 차례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필자들의 글 중에 외국 독자에게 내놓을 만한 것이 적은 까닭이 뭘까? 인류 공통의 주제들을 놓고 세계 각지의 지성인들과 함께 생각할 여유가 없을 만큼 우리 사회 지식인들은 너무 수준 낮은 문제들에 절박하게 몰리는 상황을 겪어 온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얼른 들었다.

 

내 글을 돌아봐도 그렇다. 내 글 중에 외국 독자들을 위해 번역할 만한 것이 있나 살펴볼 때, 저술활동의 진행에 따라 국내용의 성격이 강해져 왔다. <밖에서 본 한국사>는 괜찮다. <망국의 역사>까지도 괜찮다. 한국사를 서술한 것이지만 외국 독자들도 흥미를 일으킬 만한 관점을 제시한 것이다. 그런데 그 후의 책들은 한국 밖의 독자에게 보여줄 것이 별로 없다.

 

신영복 선생의 글이 특출한 범용성을 가진 것은 그분이 한국사회에서 격리된 위치에 오랫동안 묶여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감옥 안에서 생을 마칠 수도 있다는 마음이라면 사회를 휘두르는 이런저런 문제에서 꽤 초연한 자세로 보다 보편적인 명제에 생각을 쏟을 수 있었던 것 아닐까? 생각해 보면 나 자신도 사회성 부족 때문에 격리된 위치를 스스로 지키다 보니 감옥살이 않고도 보편적인 명제에 생각을 꽤 모을 수 있었던 것일지 모른다.

 

군 복무 시절 생각이 난다. 고참이 되어 좀 할랑해지면 감금생활의 질곡이 더 예민하게 느껴져 자유로운 "사회"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더 절실해지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내게는 그런 마음이 들다가도, 그 "사회"라는 곳에 또 어떤 질곡이 있는지 떠올리며 막막한 마음이 들곤 했다. 그 "사회"가 그 후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그 좋아진 수준이 마치 고참들이 비꼬는 말 "군대 참 좋아졌다~" 수준과 별 차이 없는 게 아닐까.

 

세계 지성계에 대한 한국사회의 공헌이 너무 빈약하다는 생각이 새삼 든다. 영화, 소설 등 여러 분야에서 눈에 띄는 공헌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한국사회의 제반 조건 덕분에 그런 공헌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무릅쓰고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충분한 역량을 가진 문화인이라도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에 충실하려고 애쓰다 보면 한국 밖에 내놓을 성과를 만들어내기 어려운 조건이다.

 

앞으로 내 일할 수 있는 능력의 가급적 많은 부분을 해외 독자들을 향한 일에 활용할 생각을 한다. 내 기왕의 글 포함해서 한국의 좋은 글을 영어로 옮기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앞으로 쓰는 글에서도 독자 범위를 한국 안에 한정시키지 않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For Foreign Eyes" 카테고리는 그런 뜻에서 만든 것이다.

 

'For Foreign Ey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困而不知者 / What to despair of  (2) 2017.03.16
loveless democracy  (2) 2017.03.10
The conscience of a blood-seller.  (2) 2017.03.02
Preventive wars of 漢 武帝.  (0) 2017.01.17
For Foreign Eyes  (0) 2017.01.17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