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막바지에 트럼프의 섹스스캔들이 엄청나게 터져나왔다. 원래 그리 점잖은 인물은 못 되는 줄 알고 있던 사람들도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었다. 여론조사도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그러지 않아도 불리하던 게임이 완전히 끝났다고 많이들 생각했다. 그런데 결과를 보면 그렇지가 않았다.

 

섹스스캔들은 도덕성과 관련된 매우 민감한 문제다. 뇌물이나 직권남용보다 사람들 눈길을 쉽게 끌고 마음을 크게 흔드는 일이 많다. 그런데 이번에 약효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은 클린턴 후보의 남편 덕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유쾌한 회고는 아니지만 빌 클린턴의 섹스스캔들을 한 차례 돌아봐야겠다. 애초에 문제가 터진 것은 1994년 5월 폴라 존스의 고소 때문이었다. 3년 전 아칸소 주지사 시절의 클린턴에게 성폭행을 당했다는 주장이었다. 곡절 끝에 클린턴은 1998년 11월 존스의 배상 요구액 85만 달러를 지불하되 폭행 사실은 인정하지 않는 조건으로 합의했다. 클린턴의 변호사는 범죄 사실을 부정하면서 정상적인 일과 생활로 돌아가기 위해 돈을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런데 폴라 존스 사건은 그 뒤에 터질 리윈스키 사건의 서막일 뿐이었다. 1995-97년 중 클린턴과 아홉 차례 성관계를 가졌다고 리윈스키가 진술하기에 이르는 사건이다. 당시 뉴스를 보며 혀를 찬 사람이 많았다. 폴라 존스 사건을 잡아떼고 있는 동안 또 일을 저지르고 있었다니. 존스의 배상 요구에 서둘러 임한 것은 리윈스키 사건에 따른 탄핵 절차가 임박했을 때였다.

 

뉴트 깅그리치 하원의장이 앞장선 공화당이 클린턴의 공격에 총력을 기울이고 주류언론도 동조했다. 그러나 별다른 타격을 입히지 못한 사실이 1998년 11월초의 중간선거에서 드러났다. 공화당이 5석을 잃었는데, 야당이 중간선거에서 손해를 본 것은 60여 년 만의, 극히 드문 일이었다. 그 무렵 나는 어느 글에 이렇게 썼다.

 

민주당이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둔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원들 못지않게 패배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클린턴의 섹스 스캔들 파헤치기에 열 올리던 언론인들이다.

 

<워싱턴포스트지>의 칼럼니스트 오버홀서는 언론이 심판자의 역할을 자임하던 종래의 오만을 반성할 기회라고 말한다. 언론은 사실을 만들어내는 기관이 아니라 전달하는 기관일 뿐이며, 그것도 자기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실이 아니라 독자들에게 중요한 사실을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론조사는 선거 몇 달 전부터 클린턴의 스캔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무관심을 보여주고 있었다고 오버홀서는 지적한다. 대통령을 평가하려면 대통령 업무의 수행실적을 보면 됐지, 사생활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유권자들의 뜻을 언론이 묵살해 왔다는 것이다. 워터게이트의 환상에서 언론인들이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자아비판이다.

 

빌 클린턴은 이 사건에 대응하는 자세에서 인간적으로는 바닥을 드러냈지만 대통령 직은 꿋꿋이 수행했다. 그때 그가 쓴 말이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였다. 원래는 심리학에서 감당하기 힘든 현실을 회피하는 무의식적 방어기제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인데, 그는 개인적 문제와 공적 임무를 구분해서 대응한다는 뜻으로 쓴 것이다.

 

클린턴의 열성 지지자인 포르노 출판업자 래리 플린트는 뭐 묻은 개가 뭐 묻은 개 나무라냐며 클린턴 탄핵에 앞장선 공화당 정치인들의 스캔들 제보에 백만 달러 현상금을 걸어 화제거리가 되었다. 실제로 하원의장 물망에 오르던 밥 리빙스턴 등 공화당 몇몇 지도자들이 플린트의 저격으로 낙마하기도 했다. 깅그리치도 탄핵 실패 후 의장직 사퇴에 이어 자신의 혼외관계가 드러난 후 의원직까지 사퇴했다.

 

집무시간 중에 집무실에서까지 일을 저지른 엽기적 행각의 주인공 클린턴은 그런 대로 무사히 임기를 마친 반면 그의 도덕성을 비판하던 정적들이 훨씬 작은 꼬투리로도 더 큰 타격 받는 것을 보며 "칼로 흥한 자 칼로 망한다"는 말을 떠올리던 생각이 난다. 도덕성을 무기로 휘둘렀기 때문에 그 칼끝이 자기를 향했을 때는 꼼짝 못하게 된 것 아닌가.

 

힐러리는 남편의 스캔들에서 피해자 입장이었지만, 그를 지켜준 것이 너그러움보다 정치적 득실에 따른 것이라는 인상을 남겼다. 그 후 상원의원, 국무장관으로 승승장구하는 동안 그 인상이 더욱 굳어져 여성적 이미지가 흐려졌다.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서 감동을 일으킬 잠재력이 약해진 데다가 트럼프의 도덕성 공격도 무뎌졌으니, 리윈스키 스캔들의 부수적 피해(collateral damage)가 막중하다 하겠다.

 

지금 박근혜 사태를 보면서도 도덕성 문제로 흥분하기보다 냉철한 비판이 제도적 문제에 집중되기 바라는 마음이 든다. 도덕성 문제는 비판의 출발점이어야 한다. 믿고 권력을 맡겼던 사람들에게 도덕적 문제가 보이면 비판적으로 살피기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비판이 도덕적 문제에서 끝나서는 안 된다. 보다 실제적인 문제를 철저하게 파헤쳐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떠나는 이승만의 초라한 모습에 감상을 느끼다가 반세기가 지나도록 "개돼지"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꼴이 되풀이된다.

 

클린턴의 '구획화'는 불리한 상황을 최소한의 피해로 견뎌내는 전략이었다. 박근혜 측에서 궁리할 어떤 전략도 '구획화'의 범주를 아마 벗어나지 않을 것 같다. 너무 늦게 들통났다는 것이 박근혜에게 불운이 아닐까 생각도 든다. 꼬리를 자르려 해도 몸통과 너무 꽉 붙어 버렸으니.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