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는 서세동점의 시대였다. 산업혁명을 발판으로 한 유럽의 물질문명은 엄청난 부국강병의 효과를 가져왔고, 온 세계가 그 경제력과 군사력의 무기력한 침략 대상이 되었다.

 

유럽에 앞서 높은 문명수준을 성취했던 중국 등 동아시아지역도 예외가 아니었다. 중국인은 19세기 후반 내내 서양세력과의 대결에서 굴욕을 거듭하는 가운데 서양문명을 배워야겠다는 의식이 갈수록 깊어졌다. 양무운동에서 변법운동으로, 그리고 다시 신문화운동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서양문명을 받드는 마음은 전통 유교문명을 부정하는 마음까지 일으켰다.

 

일본이 서양문명 학습에 앞선 결과 열강 대열에 합류하여 침략자의 입장에 서면서 ‘선진’과 ‘후진’의 기준이 더욱 분명해졌다. ‘개화’는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절대적 과제로 누구에게나 인식되었고, 그 과제의 첫 번째 내용은 전통을 벗어던지는 것이었다. 거듭된 물질적 패배가 결국 정신적 패배를 초래한 것이다.

 

서양 물질문명을 바탕으로 한 세계체제는 21세기에 들어선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 체제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갈수록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약 50년 전부터 환경 문제, 자원 한계 등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계속 커져 왔고, 10여 년 전부터는 경제체제 등 인간사회의 조직방법에 대한 문제의식이 깊어지고 있다.

 

21세기 들어와 10여 년간 세계의 변화 중 중요한 것 하나가 중국의 성장이다. 1999년 시점까지도 중국의 경제발전은 미국(과 그 영향을 받는 세계기구들)의 정책에 좌우되는 바가 컸다. 그런데 지금은 벌써 형세가 역전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정책 결정에 중국 정책이 더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는 말이다.

 

진행 중인 중국의 성장이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일까? 19세기 이래 열등생으로 떨어졌던 중국이 그 동안 공부 열심히 해서 우등생으로 올라서는 장면을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그 교실에서 작동하던 경쟁의 원리를 벗어나 중국이 자기 능력을 과시하는 다른 길을 찾게 된 것일까?

 

바로 그 교실 안에서 오랫동안 지내 온 우리에게는 당연히 전자의 관점이 먼저 떠오른다. 그런데 우리가 익숙하지 않은 다른 관점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 세계체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과 연결해 본다면, 중국의 성장이 세계체제의 근본적 변화를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150년 전 현 세계체제가 중국 중심의 천하체제를 뒤집었던 것과 비슷한 규모의 변화가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단정할 근거가 보이지 않는다.

 

자본주의를 주축으로 한 현 세계체제를 유일한 문명의 길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 뉴라이트를 비롯한 신자유주의자들이다. 서양 물질문명 도입을 유일한 생존과 발전의 길로 여기고 그에 방해되는 전통문명을 파기 대상으로 여기던 19세기의 패배의식에 후진사회가 머물러 있기를 그들이 바라는 것은 현 세계체제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신자유주의 노선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안을 얻기 위해서는 세계체제의 변화 가능성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Posted by 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