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협의 페리스코프 <34>

기사입력 2003-11-15 오전 11:29:30

  '미국인의 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존재해 왔으며 소련 붕괴 후 더 부각되었고, 지금의 부시 정권이 들어선 후 더욱 무겁게 느껴지고 있는 짐이다. 미국인에게만 무거운 짐이 아니다. 미국 밖의 많은 사람들에게 더 부담이 되고 있는 짐이다. 우리도 지난 가을 이후의 북핵 위기 속에서 그 무게를 크게 느끼기 시작한 짐이다.
  
  지금 사람들의 관심은 ‘세계경찰’을 자임하며 ‘예방전쟁’을 주창하는 미국의 ‘전쟁광’ 측면에 모여 있다. 그러나 다른 모든 면에서 멀쩡한 나라가 전쟁 하나에만 광분하는 증세를 보일 수 있을까? 미국이라는 나라의 병리적 현상은 포괄적 고찰을 필요로 한다.
  
  미국은 문명 발전의 거의 모든 측면에서 세계를 이끌어가고 있다. 좋은 측면이든 나쁜 측면이든. 이것이 바로 ‘미국인의 짐’이다. 미국이 개발하는 기술과 제도, 그리고 미국이 겪는 병리적 현상, 양쪽 다 얼마간의 시차를 두고 다른 나라들에 전파된다. 그 시차는 전체적으로 계속 짧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전파시차가 그중 짧은 나라의 하나다.
  
  깊이 따져보면 좋은 측면과 나쁜 측면이 별개의 것일 수도 없다. 양쪽 다 하나의 문명발전 방향에서 파생되는 것일 뿐이다. 좋은 것만 배우고 나쁜 것은 버린다는 취사선택에는 근본적 한계가 있는 것이다.
  
  미국이 보이는 병리적 현상은 미국만의 것이 아니라 온 세계가 걸려가고 있는 질병을 앞장서서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 비판과 평화운동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문명의 진행방향을 총체적으로 반성할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미국인의 짐’에 감사해야겠다.
  
  19세기 당시에 ‘백인의 짐’은 하나의 숭고한 이념이었다. 유럽문명 발전의 열매 가운데 ‘힘’만으로 세계를 정복할 것이 아니라 ‘도덕’으로 세계를 감화시키자는 주장이었다. 갸륵한 주장이었지만, 그로 인해 세계가 더 좋은 곳이 되었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지금 별로 없다. 오히려 위선의 상징으로 매도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
  
  ‘백인의 짐’은 왜 실패했는가? 문명 진행방향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이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시의 인도주의자들은 유럽문명의 발전방향에 제국주의자들과 다를 바 없는 신뢰를 가지고 있었고, 스스로를 그 문명의 ‘좋은 대표자’로 자임했을 뿐이다.
  
  19세기에 비해 지금은 문명 진행방향의 근본적 반성이 가능한 상황이다. 문명의 주체가 상당한 범위로 확산되어 있어서 가해자와 피해자, 시혜자와 수혜자가 뚜렷이 구분되지 않는다. 한국처럼 중간 수준의 산업화를 이룩한 나라는 여러 분야에서 여러 나라에 대해 가해자가 되기도 하고 피해자가 되기도 하는가 하면, 시혜자가 되기도 하고 수혜자가 되기도 한다.
  
  ‘미국인의 짐’은 미국인이 앞장서서 지고 있는 것일 뿐, 지금의 문명세계 전체에 얹혀 있는 짐이다. 미국을 지지한다고 해서 이 짐이 행복의 보따리가 되는 것도 아니고, 미국을 반대한다고 해서 이 짐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 이 짐이 왜 생긴 것인지 철저하게 따져보아, 피할 수 없는 짐이 확실하다면 가능한 한 나도 괴로움을 덜 겪고 남에게도 덜 끼치면서 함께 지고 갈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문명의 진행방향을 바꿔 이 짐을 아주 없앨 수는 없을까? 다른 방향을 잡더라도 그에 따른 짐이 어떤 것이든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1백여 년 전에 비해서는 대안을 생각할 수 있는 폭이 크게 넓어졌다. ‘문명의 짐’으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 ‘더 나은 세상’을 찾는 길에서 핵심이 되는 질문일 것이다.
  
  지난 봄까지 신문에 쓴 글 일부를 모아 “미국인의 짐”이라는 책을 내면서 책머리에 붙이기 위해 쓴 글의 일부다. 그 후 북핵사태의 전개와 이라크 파병 문제 등을 통해 ‘미국인의 짐’이 더욱 절박하게 우리 사회를 짓눌러 온 변화를 보며 프레시안 독자들에게 보이고 싶은 마음에서 옮겨놓는다.

Posted by 문천